https://www.notion.so/13-ATC-826f718988354f9f8dd680c1c16058e6
13장-이윤/ATC
산업조직론 = 가격의 생산량에 관한 기업들이 의사결정이 그 기업들이 직면한 시장 여건에 따라 어떤 영향을 받는지 연구하는것
www.notion.so
= 가격의 생산량에 관한 기업들이 의사결정이 그 기업들이 직면한 시장 여건에 따라 어떤 영향을 받는지 연구하는것
- 기업의 목표가 이윤을 극대화하는데 있다 (다시 기억!) , 이타적동기나 어떤 분야의 열정때문에 창업할수있지만 기업의 주목표는 최대한 많은 이윤을 남기는것
= 기업이 제품을 판매하고 받은 금액 ( P 가격 x Q 산출량 )
총비용= 기업이 생산과정에 투입한 모든 요소의 시장가치 ( 기회비용 , 즉 명시적 비용 + 암묵적 비용 )
이윤 = 총수입 -총비용
<기회비용>
명시적 비용= 현금 지출이 필요한 요소비용 (재료비,인건비)
e.g. 캐롤라인이 밀가루를 1000달러주고샀다면, 이돈주고 다른물건을 살 수 없으므로 기회비용은 1000달러
e.g. 근로자들에게 지급되는 임금도 기업의 기회비용이다!
암묵적 비용= 현금 지출이 필요하지 않은 요소비용 (포기한 소득 + 사업에 투입된 금융자본의 기회비용 +)
e.g. 캐롤라인이 컴퓨터 프로그래머 일을 하면서 1시간에 100달러를 벌수있다. 공장에서 1시간 일하면 기회비용은 100달러이다 (프로그래머로 벌수있는 수입을 포기하는셈)
→ 포기한 소득도 비용에 포함된다!!!!!!!!!
e.g. 캐롤라인이 30만달러를 주고 공장을 인수함. 그돈으로 연리 5% 저축 예금을 들었다면 1만5000달러를 벌었을것. 이자소득 1만5000달러는 과자공장 사업의 기회비용에 포함되어야함 (회계사는 이 이자소득 1만 5000달러를 비용이라고 보지않음)
경제학자 vs 회계사
- 경제학자 ( 암묵적 비용 + 명시적 비용)
**중요! 경제학자는 포기한 소득도 비용에 포함시킨다. e.g. 프로그래머임금이 100→500이 되면 공장을 접는다
- 회계사 (명시적 비용)
e.g. 캐롤라인이 초기자금 30만달러를 저축한 돈 10만달러 + 연리 5%로 대출받은 20만달러를 합친것.
경제학자 : 연 1만 5000달러,차입금에 대한 연간 지급이자 1만달러 (= 명시적 비용) + 5000달러 (=암묵적 비용)
회계사 : 차입금에 대한 지금이자 1만달러 (연리 이자) 를 비용으로 계산 = 명시적 비용 ⇒ 빌린돈 20만 달러에 대한 이자만 계산한다
경제학적 이윤 = 총수입에서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을 포하한 모든 기회비용을 뺸 금액
회계학적 이윤 = 총수입에서 명시적 비용을 뺀 금액 → 회계학적 이윤이 더 많다
- 경제학적 이윤을 내ㅇ만 사업을 지속할 수 있다. 모든 기회비용을 총수입으로 충당하고, 일부 수입을 남겨서 기업 소유주에게 보상이 돌아가도록 한다.
e.g. 농부는 수엽료로 시간당 20달러를 벌수 있다. 어느날 농부가 100달러어치 씨앗을 사서 10시간동안 파종했다. 농부의 노동의 기회비용은? = 300달러
(총 기회비용은 200달러 + 100달러 = 300달러)
e.g. 앞서서 곡물을 심어서 200달러어치 곡물을 수확할 수 있다면 농부는 회계학적 이윤? 경제학적 이윤?
→ 농부는 회계학적 이윤을 달성
<생산과 비용>
생산함수 = 생산 요소 투입량과 산출량의 관계
한계 생산물 = 생산 요소의 투입량을 한단위 증가시킬때 창출되는 산출량의 증가분
(a) (개중요) 한계생산물 체감 현상 = 근로자수가 증가할수록 생산함수는 더 평평해진다
= 생산요소의 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요소의 한계 생산물이 감소하는 현상→ 근로자가 소수일떄, 주방기계를 쉽게 사용할수있다. 그러나 근로자수가 늘어남에 따라, (1)추가로 고용된 근로자들은 기존의 근로자들과 기계를 함께 사용해야함 + (2)혼잡함
(b) a와 연결되있음. 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비용곡선의 기울기가 급해지는것은 한계 생산물이 체감하기 때문임
산출량이 늘어난다 = 근로자가 늘어난다 → 작업장이 혼잡해진다 → 증가분이 점점 감소한다 (한계 생산물 체감 현상) → 근로자 수가 증가할수록 생산함수는 평평해짐 = 근로자가 점점 많으므로 총비용이 많이들어간다
<여러가지 비용개념>
고정 비용
= 산출량에 따라 변하지 않는 비용 (임대료 , 월급)
가변비용= 산출량에 따라 변하는 비용 ( 재료비, 추가월급,
총비용 = 고정비용 + 가변비용ATC 평균총비용
= 총비용을 산출량으로 나눈것 = 총비용이 생산되는 제품 모든 단위에 똑같이 배분될 경우 한 단위를 생산하는데 드는 비용을 말함
AFC 평균고정비용= 고정비용을 산출량으로 나눈것
AVC 평균가변비용= 가변비용을 산출량으로 나눈것
한계비용= 총비용이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보여주는 수치 = 산출량을 한단위 증가시킬때 총비용의 증가분
한계 생산물이 증가할때 한계비용은 감소한다 (반비례함)
(1) 산출량이 증가하면 한계비용(MC) 도 증가한다
(2) 평균총비용곡선 (ATC) 는 U 자 모양이다
(3) 한계비용곡선 (MC) 는 평균총비용(ATC) 의 최저점을 통과한다.
MC (한계비용곡선)
- 우상향 (한계생산물이 체감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
산출량이 적을떄 : 종업원을 더 투입할경우, 한계생산물이 많기 때문에 추가비용이 상대적으로 적다
산출량이 많을떄 : 종업원을 더 투이할경우, 한계생산물이 적기 때문에 추가비용이 상대적으로 크다.
ATC (평균총비용곡선) = AFC + AVCAFC(평균고정비용) - 산출량이 증가하면 고정비용이 여러단위에 분산되므로 점점 감소한다.
AVC(평균가변비용) - 한계생산물이 체감하기 떄문에 평균가변비용은 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 상승한다
효율적 생산량 = U 모양의 바닥(최저점) 은 평균총비용이 최소가 되는점
이 효율적 생산량을 기준으로,
MC < ATC : 평균총비용이 하락
MC > ATC : 평균총비용이 상승
⇒ MC , ATC 가 만나는 점에서 평균총비용이 최소가됨
< 전형적인 비용곡선 >
MC가 브이모양인 이유
(1) 첫번쨰 근로자가 투이보디었을때부터 한계 생산물 체감 현상이 나타나는것이 아니기 떄문에
(2) 두,세번쨰 근로자가 첫번째 근로자일떄보다 효율이 더 높을수도 있다. 혼자 일하는것보다 팀을 이루면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 → 초반에 MC 곡선이 감소함 (초반에는 한계 생산물이 증가하다가 나중에 감소함)
- 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한계비용은 궁국적으로 증가한다
- 평균총비용곡선은 U 모양이다
- 한계비용곡선은 평균총비용곡선의 최저점을 통과한다.
<단기 비용과 장기비용>
단기 평균 총비용 / 장기평균 총비용 (규모는 산업마다 다름 / 생산설비 규모를 바꾸는데 얼마나 걸리는지가 기준임)
- 단기
공장의 비용 = 고정비용
과거의 선택에 기초한 단기 비용곡선위에서만 생산할수 있음
- 장기
공장의 비용 = 가변비용
더융통성을 발휘할수 있음
기업이 원하는 단기 비용곡선을 선택할수있음
e.g. 1000→1200 대로 자동차 생산량을 늘리려고함 → 근로자들을 더 고용함
단기: 평균비용이 증가한다
장기 : 공장규모와 근로자수를 조정가능함으로 평균총비용을 유지가능
규모의 경제
= 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장기 평균 총비용이 하락하는 현상 (노동의전문화)
→ 생산량이 많을수록 근로자들이 분업을 통해 전문화 할수 있기 때문
규모의 불경제= 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장기 평균총비용이 상승하는 현상 (조정의문제)ㅜ
→ 업무조정문제 때문에 발생함
= 경영진의 업무량이 늘어서 비용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어려워짐
규모에 대한 수익 불변= 장기 평균총비용이 산출량과 관계없이 일정한 현상
'<수업> > 맨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맨큐의 경제학 8장-세금 (0) | 2021.01.15 |
---|---|
맨큐의 경제학 14장 -조업중단 (0) | 2021.01.15 |
맨큐의 경제학 11장-공공재 (0) | 2021.01.15 |
맨큐의 경제학 10장-외부효과 (0) | 2021.01.15 |
맨큐의 경제학 9장-국제무역 (0) | 2021.01.15 |
Uploaded by Notion2Tistory v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