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조

https://mambo-coding-note.tistory.com/284 - 개념참조

https://github.com/fmfn/BayesianOptimization - 코드참조

https://www.youtube.com/watch?v=sbbR-XRft9o&t=45s - 개념참조

베이즈 정리 간단히
  • 사전확률과 사후 확률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정리

**사전확률/사후확률 : 어떤 일(evidence를 관측해서 갱신하하기 전/후의 내 주장에 관한 신뢰도

  • 새로운 정볼를 토대로 어떤 사건이 발생했다는 주장에 대해 신뢰도를 갱신해나가는 방법이다

**베이지안주의 관점 : 동전앞면이 나올확률은 50%, 100번동전을 던졌을때 앞면이 나왔다는 주장의 신뢰도가 50%라고 본다.

**빈도주의 관점 : 동전앞면이 나올확률은 50%, 100번동전을 던졌을때 50번은 앞면이 나온다고해석 (기존의 통계학)

  • 베이지안 관점의 통계에서는 사전확률과같은 경험에 기반한 선험적인,불확실성을 내포하는 수치를 기반을 하고 거기에 추가정보를 바탕으로 사전확률을 갱신한다.(귀납적 추론)

e.g.

질병 A의 발병률은 0.1%.이 질병이 실제로 있을 때 질병이 있다고 검진할 확률(민감도)은 99%, 질병이 없을 때 없다고 실제로 질병이 없다고 검진할 확률(특이도)는 98%라고 하자.

만약 어떤 사람이 질병에 걸렸다고 검진받았을 때, 이 사람이 정말로 질병에 걸렸을 확률은?

 

 

  • 한마디로 정의하면 : Random Search와 통계적인 기법 (Gaussian Distribution)을 기반으로 실제 data를 이용하여 surrogate model을 이용하여 실제 model을 찾지 않아도 Maximum value를 도출해낼 수 있다는것.

 

 

 

1. 지금까지 관측된 데이터 D = [(x1, f(x1)), (x2, f(x2)) … (xn, f(xn))]을 통해, Gaussian process prior로 function f(x)를 Estimation한다. (= surrogate model)

** Surrogate model(대체 모델, 근사수학모델)

이란 자동차 충돌 실험과 같이 제한된 계산 비용이 많이 드는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복잡한 시스템의 수많은 입출력 특성을 실제 모형과 유사하게 만드는 것

  • 여기서 f(x)는 함수이고, x는 하이퍼 파라미터이다!!!!!!!! (x가 여러개일수도 있음)

그러니까 앞에서 함수의 해당 하이퍼파라미터랑 , 탐색대상 함수를 쌍으로 만든다음, 이것을 대상으로 surrogaate model을 만들어서 평가를 순차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최적의 하이퍼파라미터조합을 탐색하는 과정

 


  • 관측치 수(코드에서 나오는데 n_iter로 몇번 반복할지 조정가능함) 가 증가함에 따라 사후 분포가 개선되고 알고리즘은 아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매개 변수 공간에서 탐색 할 가치가있는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이 더 확실해진다.(한마디로 위에 피피티 그림에서 회색부분 공간이 점점 줄어들고 대충 모양이 잡힌다는 뜻임)

(피피티 4개짜리 그래프 설명) 위 피피티에서 4개짜리 그림을 보면, 1번에서 모양이 살짝 바뀌었다. 두번째로는 제일 값이 높아보이는쪽으로 이동한다. 먼가 모양이 좀더 좁아졌다. 세번째로는 variance가 제일 높아보이는데로 이동했다. 이렇게 계속 반복반복하다보면 4번째 그림처럼 되고, 노란색 부분 즉 maximum값을 구할수있다.

→ 이렇게 Exploitation/Exploration 을 반복해주는 매커니즘이

acquisiton function

인것임 (용어는 뒤에....)

 

2. Function f(x)를 다음으로 관측할 지점 (xn+1, f(xn+1))으로 Acquisition Function(decision rule)으로 선택하여 이동한다.(제일 중요하다)

acquisition functio

n

은 surrogate model이 목적함수(우리가 찾고자하는 함수) 에 대해서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음번 조사할 x값을 확률적으로 계산해서 추천해주는 함수

**Exploitation 은 현재까지 조사된 값들의 근방으로 다시 조사를 하는 것이다. 착취를 말한다.

**Exploration 은 현재까지 조사된 값들의 근방으로 조사를 하지 않고, 불확실성이 제일 높은 구간을 조사한다. 탐험을 말한다.

<acquisition function 종류>

  1. EI (Expected Improvement / MEI 라고도함 )는 Exploration 과 Exploitation 방법을 모두 일정 수준 포함하도록 설계된 것이고, 제일 많이 쓰는 Acquistion Function이다.
  1. MPI
  1. UCB

!! acquisiton function 에 따라 성능이 달라진다 !!

 

<베이지안 옵티 코드!>

 

#!pip install Bayesian-Optimization
#https://github.com/fmfn/BayesianOptimization 참조

# underlying function!! , x,y를 하이퍼 파라미터 취급한다.
def black_box_function(x, y):
    return -x ** 2 - (y - 1) ** 2 + 1
from bayes_opt import BayesianOptimization
# Bounded region of parameter space
pbounds = {'x': (2, 4), 'y': (-3, 3)}   #하이퍼 파라미터 정해줌
optimizer = BayesianOptimization(  
    f=black_box_function, #앞에서 지정해준 black_box_funciton을 함수를 f에 넣어준다.
    pbounds=pbounds,  #하이퍼 파라미터 넣어준다.
    verbose=2, #verbose = 1 prints only when a maximum is observed, 0일땐 silent ,versbose=2 항상
    random_state=1,   #seed, 무작위성을 컨트롤 0이면,반복해도 똑같은값 출력함.
)
optimizer.maximize(
    init_points=2,  # init_points : 수행하려는 임의 탐색 단계 수. 무작위 탐사는 탐사 공간을 다양 화하여 도움을 줌.
    n_iter=3,  # n_iter :위에서 임의탐색한거 주위에서 찾아봄 (3.4, 3.5, 3.002, 2.7, 2.95 이렇게)
    acq='ei',  #aacquisition 선택 ( ei / poi / usb )  - 이것에 따라 성능이 갈리기도 한다.
)
# 임의 탐색2번 + 반복3번해서 총 5개 나오는것! 
>>
|   iter    |  target   |     x     |     y     |
-------------------------------------------------
|  1        | -7.135    |  2.834    |  1.322    |
|  2        | -7.78     |  2.0      | -1.186    |
|  3        | -7.11     |  2.218    | -0.7867   |
|  4        | -6.76     |  2.558    | -0.1028   |
|  5        | -17.39    |  4.0      | -0.5455   |
=================================================
print(optimizer.max)  # 가장 최대일때의 x,y값을 출력해준다.

>> 
{'target': -6.760373063273364, 'params': {'x': 2.558177239763734, 'y': -0.10277027219097953}}
for i, res in enumerate(optimizer.res):
    print("Iteration {}: \n\t{}".format(i, res))
    
>> 
Iteration 0: 
	{'target': -7.135455292718879, 'params': {'x': 2.8340440094051482, 'y': 1.3219469606529488}}
Iteration 1: 
	{'target': -7.779531005607566, 'params': {'x': 2.0002287496346898, 'y': -1.1860045642089614}}
Iteration 2: 
	{'target': -7.109925819441113, 'params': {'x': 2.2175526295255183, 'y': -0.7867249801593896}}
Iteration 3: 
	{'target': -6.760373063273364, 'params': {'x': 2.558177239763734, 'y': -0.10277027219097953}}
Iteration 4: 
	{'target': -17.38863150351646, 'params': {'x': 4.0, 'y': -0.5455198166042586}}
optimizer.set_bounds(new_bounds={"x": (-2, 3)})  #범위 수정해줌!!!!

optimizer.maximize(
    init_points=0,
    n_iter=5,
)   

>>
|   iter    |  target   |     x     |     y     |
-------------------------------------------------
|  6        | -1.769    | -1.57     |  1.552    |
|  7        | -1.362    | -1.438    |  1.542    |
|  8        | -1.447    | -1.395    |  1.708    |
|  9        | -0.6024   | -1.143    |  1.543    |
|  10       |  0.1307   | -0.8744   |  1.324    |
=================================================
optimizer.probe(  #probe는 탐색을 의미함
    params={"x": 0.5, "y": 0.7},
    lazy=True,  #기본으로 설정해놓는다.
)
#다음에 maximize를 호출할 때 평가함

optimizer.probe(
    params=[-0.3, 0.1],
    lazy=True,
)

# Will probe only the two points specified above
optimizer.maximize(init_points=0, n_iter=0)

>>
|   iter    |  target   |     x     |     y     |
-------------------------------------------------
|  13       |  0.1      | -0.3      |  0.1      |
|  14       |  0.1      | -0.3      |  0.1      |
=================================================

'<Activity> > 21,22 컴퓨터 프로그래밍 강의조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Turtle 정리  (0) 2022.04.11
Teachable Machine 실행방법 A-Z  (0) 2021.12.12

클라우드 컴퓨팅 : 컴퓨팅 파워, 데이터베이스 , 스토리지, 어플리케이션 및 기타 it리소스들을 온디맨드로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것.

이런 리소스들은 세계 여러위치에 존재하는 대규모 데이터센터에 구축된 서버 컴퓨터에서 실행된다. 사용자는 이곳에서 공급되는 컴퓨터를 사용가능하다.

*온디맨드: 주문형 서비스를 의미함

<소프트웨어로서의 인프라>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면, 인프라를 더 이상 하드웨어로 생각하지않고, 대신 소프트웨어로 생각하고 사용가능해짐

기존컴퓨팅모델 vs 클라우드컴퓨팅 모델

기존 컴퓨팅 모델클라우드 컴퓨팅 모델
하드웨어형 인프라소프트웨어로서의 인프라
@하드웨어 솔루션@ : 공간, 직원, 물리적보안, 계획, 지본, 지출 필요@소프트웨어 솔루션@ 유연함
긴 하드웨어 구매주기하드웨어 솔루션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경제적으로 변경이 가능
이론적으로 최대 피크를 추정해서 용량을 프로비저닝해야함 ⇒ 실제 사용량이 예상최대피크를 초과하면 용량이 부족해짐. 요구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함. 이에 새로운 솔루션을 구현해야하는데, 시간과 인력 비용이 더 투자된다. 획일적인 과중한 작업 해소 ⇒ 왼쪽 기존 컴퓨팅모델에서 새로운 솔루션을 만들어내는게 아니라 손쉽게 바꾸어줄수있으므로 유지관리,용량계획같은 획일적인 작업들보다 더 중요한 문제에 집중할수있게 해줌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 IaaS(서비스형인프라): 이 범주의 서비스는 클라우드IT의 기본 빌딩블록을 포함하고 일반적으로네트워킹기능, 컴퓨터(가상또는전용하드웨어) 및데이터스 토리지 공간을제 공합니다. IaaS는IT 리소스에 대한 최고수준의 유연성과 관리제어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는 현재 많은 IT 부서 및 개발자에게 익숙한 기존IT 리소스와 가장 유사합니다.
  • PaaS(서비스형플랫폼): 이 범주의 서비스를 이용하면 기본인프라(일반적으로하드웨어와운영체제)를 관리할 필요가 없어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관리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SaaS(서비스형소프트웨어): 이범주의 서비스는 서비스 공급자가 운영하고 관리하는 완제품을제공합니다.대 부분의 경우 서비스형 소프트웨어는 최종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지칭합니다.

(아래로 갈수록 it리소스에 대한 제어능력이 감소함)

<클라우드 컴퓨팅 배포 모델>

  •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부분이 클라우드에서 실행됨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기반 리소스랑 클라우드에 위치하지 않는 기존 리소스간에 인프라와 어플리케이션을 연결하는 방법 (= 클라우드랑 온프레미스의 중간)
  • 온프레미스: =프라이빗 클라우드 / 리소스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관리및 가상화기술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레거시 it 인프라와 같다

<기존 온프레미스 공간과 AWS간의 유사점>

<클라우드 컴퓨팅의 이점>

  1. 자본 지출을 가변 비용으로 대체

    자본비용(CapEx) = 물리적 자산을 유지관리하는 자금

    가변비용 = 비용을 부담하는 사람이 쉽게 변경하거나 피할수 있는 비용

    (= 리소스를 사용할떄만, 사용한 리소스에 대해서만 비용지불) ⇒ 몇주, 며칠이 아니라 몇분만에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에 맞춰서 필요한 만큼의 공간을 구축가능

  1. 규모의 경제로 얻게되는 이점

    *규모의 경제 = 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장기 평균 총비용이 하락하는 현상 (노동의전문화) ⇒ 공장에 근로자가 많을수록 분산해서 일을 하기 떄문에 더 효율적이어지는거

    ⇒ 수많은 고객의 사용량이 클라우드에 집계되어 aws와 같은 공급자는 더 높은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수있다. 따라서 지불하는 종량제 요금이 더 낮아짐

  1. 용량 추정 불필요

    최대 얼마나 사용할수있을지, 필요한 인프라 용량을 추정할 필요가 없음. 필요한만큼의 리소스에 액세스하고 몇분만에 확장/축소가 가능하기 떄문

  1. 속도 및 민첩성 개선

    새 it리소스를 클릭 몇번으로 확보가능. 실험&개발에 드는 비용과 시간이 단축됨

  1. 데이터 센터 운영 밎 유지 관리에 비용 투자 불필요

    인프라가 아니라 비즈니스를 차별화하는 프로젝에 집중할수 있다/ 서버관리하느냐 시간 허비 안하고 그 남는 시간을 고객에게 더 집중할수있음

  1. 몇분 안에 전 세계에 배포가능

웹 서비스?

: 인터넷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API(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의 요청및 응답에 대해 xml또는 json과 같은 표준화된 형식을 사용한다.

웹서비스는 인터넷 or 프라이빗네트워크(인트라넷) 을 통해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소프트웨어

특정 운영체제 & 프로그래밍 언어에 종속되지 않음 / 인터페이스 정의파일을 통해 자체적으로 기술되며 검색가능함

AWS?

: 다양한 클로벌 클라우드 기반 제품을 제공하는 안전한 클라우드 플랫

-컴퓨팅,스토리지,네트워크.데베등 기타 it리소스와 관리도구에 대한 온디맨드 엑세스를 제공함

-유연성 제공 (환경은 필요에 따라 재구성&업데이트하거나 , 자동확장 또는 축소가능)

-필요한 개별 서비스에 대해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됨

-aws서비스는 빌딩블록처름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함

e.g. ec2 인스턴스로 데이터를 전공. / s3 스토리지를 사용 / 네트워크 서비스인 vpc 를 실행할수도 있음

사용 사례별로 다음과같이 여러가지 aws컴퓨팅 오퍼링을 사용가능

이름태그
Amazon EC2AWS 컴퓨팅리소스를완벽하게제어하려는경우
AWS Lambda코드를실행하면서서버를관리하거나프로비저닝하지않으려는경우
AWS Elastic Beanstalk웹애플리케이션을배포, 관리및확장하는서비스가필요한경우
AWS Batch수십만개의배치워크로드를실행해야하는경우
AWS Outpost온프레미스데이터센터에서AWS 인프라를실행하려는경우
Amazon Elastic Container Service(Amazon ECS), Amazon Elastic Kubernetes Service(Amazon EKS) 또는AWS Fargate컨테이너또는마이크로서비스아키텍처를구현하려는경우
VMware Cloud on AWS온프레미스서버가상화플랫폼을AWS로마이그레이션하려는경우마찬가지로, 다른범주에도선택할수있는다양한서비스가있으며, 서비스수는계속늘어나고있습니다

<AWS와 상호작용하는 3가지 방법>

  • AWS management console : 사용하기 쉬운 그래픽 인터페이스
  • AWS CLI (명령줄 인터페이스) : 개발 명령또는 스크립트를 사용해서 서비스에 액세스
  • SDK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 코드에서 직접 서비스에 엑세스

→ 3가지 모두 aws의 기초 역할을 하는 공통적인 rest유형의 api를 기반으로 함

<aws 클라우드로 전환> -클라우드 컴퓨팅은 기존 보델에 비해 많은 이점을 제공하지만, 대부분의 조직에서 클라우드 도입이 즉시 이루어지지는 않음.

-기술,인력,프로세스 3가지가 갖추어져야함.

<AWS CAF> - cloud adoption framework

-조직이 전사적으로, 또한 it수명 주기 전반에 걸쳐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 방식을 구축하여 성공적인 클라우드 도입을 가속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침과 모범 사례를 제공함

6가지 관점으로 구성됨 (좌: 비즈니스 역량에 집중 / 기술 역량에 집중 )

  • 비즈니스 관점

aws CAF를 사용해서 설득력있는 클라우드 도입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클라우드 도입 이니셔티브의 우선순위를 지정가능. 이해관계자는 조직의 비즈니스 전략 및 목표가 it전략 및 목표와 일치하는지 확인해야함

  • 인력관점

인력관점의 이해관계자들은 aws CAF를 사용해서 조직구조및 역할, 새로운 기술 및 프로세스 요구사항을 평가하고 격차를 파악할수 있다. 요구사항과 격차를 분석하면 민첩한 조직을 구축하기 위한 교육, 인력배치 및 조직 변경의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 거버넌스 관점

거버넌스 관점의 이해 관계자는 AWS 를 사용해서 it전략및 목표를 비즈니스 전략및 목표에 맞추는데 필요한 기술과 프로세스에 집중할수있음. 이런 목표는 조직이 it투자의 비즈니스 가치를 극대화하고 비즈니스 위험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이됨

  • 플랫폼관점

대상 상태 환경의 아키텍쳐를 자세히 설명간으해야함.

  • 보안관점

조직이 가시성, 감사능려그 제어및 민첩성과 관련된 보안목표를 충족하도록 보장해야함

  • 운영관점

일일, 분기별, 연도별 비즈니스 수행방식을 정의,

?????

<string 유사도 구하기 알고리즘3가지 적용>

 

1. LCS알고리즘 (=최장공통부분 문자열)

=Longest Common Subsequence

(substring은 연속된 부분 문자열, subsequence는 연속적이지 않은 부분 문자열 - 핵심!)

두개 s1,s2가 주어졌을때, 공통으로 들어있는 부분열중 가장긴 열의 길이를 찾아낸다. (여기서 부분열이란? 몇몇 문자가 빠져도 순서는 바뀌지않는 문자열을 의미

def lcs(a, b):
    prev = [0]*len(a)
    for i,r in enumerate(a):
        current = []
        for j,c in enumerate(b):
            if r==c:
                e = prev[j-1]+1 if i* j > 0 else 1
            else:
                e = max(prev[j] if i > 0 else 0, current[-1] if j > 0 else 0)
            current.append(e)
        prev = current
    return current[-1]
   

2. 레벤슈타인 알고리즘(=편집거리 알고리즘)

→ 위에 LCS랑 거의 비슷한데 약간의 디테일만 다르다!!!!!!

두 문자열이 같아지려면, 몇번의 문자조작(삽입,삭제,변경)이 필요한지 구하는것 ( 위의 3개를 합치면 총 조작비용이 나온다)

#레반슈타인 알고리즘 ( 편집거리 알고리즘 )
import numpy as np
def levenshtein(seq1, seq2):
    size_x = len(seq1) + 1    #왜냐면 matrix에 넣어줄때, 제일 왼쪽에 0이 붙으니까~~
    size_y = len(seq2) + 1
    matrix = np.zeros ((size_x, size_y)) # matrix를 0으로 초기화함
    for x in range(size_x): 
        matrix [x, 0] = x
    for y in range(size_y):
        matrix [0, y] = y
# 참조링크 들어가보면 matrix 북서쪽에 0,1,2,... 이런식으로 숫자 채워줌
# matrix 북서쪽 채워주고 나머지는 전부 0
# 북서쪽이 뭐냐! 앞에서 len()+1로 더해준 0이랑 조작비용을 계산하는거라 0,1,2,3....이렇게 채워진다.


# 여기서부터 나머지 matrix값들 채워줌
    for x in range(1, size_x):  #북서쪽 앞에서 채워준거 제외해줘야하니까 1부터 시작~
        for y in range(1, size_y):  #for, for로 비교
            if seq1[x-1] == seq2[y-1]:  # seq[]이랑 matrix[]이거랑 따로!!! 그려서 넣어보면 바로이해감
                matrix [x,y] = min(
                    matrix[x-1, y] + 1,#문자삽입
                    matrix[x-1, y-1],   #문자제거 
                    matrix[x, y-1] + 1   #문자변경
                )
            else:
                matrix [x,y] = min(   #둘이 안같으면 그냥 전값에 1더해주기
                    matrix[x-1,y] + 1,
                    matrix[x-1,y-1] + 1,
                    matrix[x,y-1] + 1
                )
    #print (matrix)  
    return (matrix[size_x - 1, size_y - 1])  # matrix에서 제일 오른쪽아래값을 출력해줌 

3. n-gram

n개의 연속적인 단어나열 / n개의 단어뭉치단위로 끊어서 이것을 하나의 토큰으로 간주.

위에 두개는 subsequence로 연속적이지 않는 부분 문자열을 살폈지만, 이건 연속적인것으로 판단함

그러니까 2-gram이라고 하면, 두개씩 찢어서 찢어놓은 리스트에서 같은것이 몇개인가를 확률로 나타낸것.

#n-gram
def ngram(s, num): #
    res = []
    slen = len(s) - num + 1  # num개로 찢으면 몇개나오나 연산
    for i in range(slen): 
        ss = s[i:i+num]  #찢어준다!
        res.append(ss)   #res안에 조각조각낸거 넣어줌
    return res
def diff_ngram(sa, sb, num):   #sa,sb가 비교할 string, num은 몇개로 찢을거냐
    a = ngram(sa, num)  #sa를 num으로 찢은게 a
    b = ngram(sb, num)  #sb를 num으로 찢은게 b
    r = []
    cnt = 0
    for i in a:   #찢어준 리스트중에 머가 곂치는지 하나하나 비교해줌
        for j in b:
            if i == j:
                cnt += 1
                r.append(i) 
    return cnt / len(a)#곂치는 조각들을 모아서 리스트로 만들어줌
    #return cnt / len(a), r     # cnt을 리스트개수로 나눠서 출력/ r

4. 그외 문자열 유사도 구하는 다른 방법들... Hamming Distance / Smith-Waterman / Sørensen–Dice coefficient ......

 

 

 

- Lcs랑 레벤슈타인 피처들간의 연관도를 표로 만들었을때 차이점 (헷갈리지말기)

-> 연관도 있는 피처쌍을 뽑을때, lcs는 숫자가 큰것들을 필러팅 / 레벤슈타인은 숫자가 작은것들을 필터링해야한다

'<개념>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IFT 개념 이해하기 예제 with SIN/COS/TAN  (0) 2021.12.30
자주나오는 이산수학관련 내용  (0) 2021.11.28
RestfulAPI 개념정리  (0) 2021.08.14
AJAX,JSON 개념메모  (0) 2021.08.14
도커 초간단 개념정리  (0) 2021.05.09

 

 

#피처들 목록
'Device_AddN', 'Device_AddV2', 'Device_ArgMax',
       'Device_AssignAddVariableOp', 'Device_BiasAdd', 'Device_BiasAddGrad',
       'Device_Cast', 'Device_Conv2D', 'Device_Conv2DBackpropFilter',
       'Device_Conv2DBackpropInput', 'Device_DivNoNan', 'Device_DynamicStitch',
       'Device_Equal', 'Device_FusedBatchNormGradV3',
       'Device_FusedBatchNormV3', 'Device_LogicalAnd', 'Device_MatMul',
       'Device_MaxPool', 'Device_MaxPoolGrad', 'Device_Mul', 'Device_RealDiv',
       'Device_Relu', 'Device_ReluGrad', 'Device_ResourceApplyGradientDescent',
       'Device_Softmax', 'Device_SoftmaxCrossEntropyWithLogits', 'Device_Sum',
       'Device_Tile', 'Device_Unknown', 'Device__FusedConv2D',
       'Device__HostRecv', 'Host_FlushSummaryWriter', 'Host_IteratorGetNext',
       'Host_LogicalAnd', 'Host_WriteSummary', 'Device_AvgPool',
       'Device_AvgPoolGrad', 'Device_Square', 'Device_Mean',
       'Device_BroadcastTo'

  • Device_AddN

모두 더해서 출력한다

x = [9, 7, 10]
tf.math.add_n(x) ==> 26
  • Device_AddV2

요소별로 x + y 출력

tf.raw_ops.AddV2(x, y, name=None)
  • Device_ArgMax

전체 행렬에 대해 계산되어 단일 숫자를 반환함 (=몇번째가 제일큰지)

tf.raw_ops.ArgMax(
    input, dimension, output_type=tf.dtypes.int64, name=None
)
from numpy import argmax
vector = [0.4, 0.5, 0.1]  # define vector
result = argmax(vector)  # get argmax
print('arg max of %s: %d' % (vector, result))
>>arg max of [0.4, 0.5, 0.1]: 1  #1[0th,1th,2th]중 두번째값(0.5)이 젤 크다는뜻
probs = asarray([[0.4, 0.5, 0.1], [0.0, 0.0, 1.0], [0.9, 0.0, 0.1], [0.3, 0.3, 0.4]])
print(probs.shape)
result = argmax(probs, axis=1)
print(result)
>>(4, 3)[1 2 0 2] 

참조 : https://deeplizard.com/learn/video/K3lX3Cltt4c

  • AssignAddVariableOp

변수에 현재값을 추가

tf.raw_ops.AssignAddVariableOp(resource, value, name=None)

  • Device_BiasAdd

bias 와 value 를 더해준다.

-scope: A Scope object

-value: Any number of dimensions.

-bias: 1-D with size the last dimension of value.

tf.raw_ops.BiasAdd(value, bias, data_format='NHWC', name=None)

  • BiasAddGrad

The backward operation for "BiasAdd" on the "bias" tensor.

tf.raw_ops.BiasAddGrad(out_backprop, data_format='NHWC', name=None)

  • Device_Cast

x.values를 dtype으로 변환

tf.cast(x, dtype, name=None)
x = tf.constant([1.8, 2.2], dtype=tf.float32)
tf.dtypes.cast(x, tf.int32)

# float32 -> int32로 변환해주었다.

  • Device_Conv2D
Conv2D(32, (5, 5), padding='valid', input_shape=(28, 28, 1), activation='relu')

순서대로, 필터수, (행,열) , padding:경계처리방법

'valid'는 유효한 영역만 출력 / 'same' 출력 이미지 사이즈가 입력 이미지 사이즈와 동일

input_shape : 샘플수를 제외한 입력형태를 정의, 첫 레이어일떄만 정의해주면됨 (행,열,채널수)

activation : 활성화 함수 설정

‘linear’ : 디폴트 값, 입력뉴런과 가중치로 계산된 결과값이 그대로 출력으로 나옴 / ‘relu’ : 은닉층에 주로 쓰임 / ‘sigmoid’ : 이진 분류 문제에서 출력층에 주로 쓰임 / ‘softmax’ : 다중 클래스 분류 문제에서 출력층에 주로 쓰임

  • Device_Conv2DBackpropFilter

필터 에 대한 컨볼루션의 gradients를 구함

tf.raw_ops.Conv2DBackpropFilter(
    input, filter_sizes, out_backprop, strides, padding, use_cudnn_on_gpu=True,
    explicit_paddings=[], data_format='NHWC', dilations=[1, 1, 1, 1],
    name=None
)

input : 텐서! [배치,인풋높이, 인풋너비, 인풋채널] 이런 모양이어야한다.

filter_sizes : int32모양의 정수벡터여야함, [높이,너비,인풋채널,출력채널]

out_backprop : 텐서 [배치.출력높이,출력너비,출력채널] 모양

strides : 필터가 이동할간격

padding : "SAME", "VALID", "EXPLICIT"

use_cudnn_on_gpu : optional. true가 디폴트

explicit_paddings : 앞에서 패딩이 EXPLICIT 일때, the list of explicit padding amounts

data_format : NHWC가 디폴트

# NHWC
output[b, i, j, k] = sum_{di, dj, q} input[b, strides[1] * i + di, strides[2] * j + dj, q] * filter[di, dj, q, k]
  • Device_Conv2DBackpropInput

input 에 대한 컨볼루션의 gradients를 구함

tf.raw_ops.Conv2DBackpropInput(
    input_sizes, filter, out_backprop, strides, padding, use_cudnn_on_gpu=True,
    explicit_paddings=[], data_format='NHWC', dilations=[1, 1, 1, 1],
    name=None)
  • Device_DivNoNan

리턴값 : The z tensor.

tf.raw_ops.DivNoNan(x, y, name=None)
  • Device_DynamicStitch

데이터로부터 텐서를 단일 텐서로 interleave해준다

**interleave : http://www.terms.co.kr/interleave.htmhttp://www.terms.co.kr/interleave.htm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데이터가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배열하는바업.

tf.raw_ops.DynamicStitch(indices, data, name=None)
  • Device_Equal

x,y 가 같은지 리턴해줌

tf.math.equal(x, y, name=None)
  • Device_FusedBatchNormGradV3

배치 정규화를 위한 기울기

4D Tensor의 크기는 "NHWC"또는 "NCHW"로 정의한다 (data_format)

tf.raw_ops.FusedBatchNormGradV3(
    y_backprop, x, scale, reserve_space_1, reserve_space_2, reserve_space_3,
    epsilon=0.0001, data_format='NHWC', is_training=True, name=None)
  • Device_FusedBatchNormV3

배치 정규화

tf.raw_ops.FusedBatchNormV3(x, scale, offset, mean, variance, epsilon=0.0001, exponential_avg_factor=1,data_format='NHWC', is_training=True, name=None)
  • Device_LogicalAnd

x and y 의 truth을 리턴함

  • Device_MatMul

dot이랑 비슷하다. 곱셈을 의미함


  • Device_MaxPool

  • Device_MaxPoolGrad

맥스풀링함수에서의 gradients를 계산함

tf.raw_ops.MaxPoolGrad(orig_input, orig_output, grad, ksize, strides, padding, explicit_paddings=[],data_format='NHWC', name=None)
  • Device_AvgPool

  • Device_AvgPoolGrad

average pooling functino 에서 gradients를 구한다


  • Device_Mul

곱셈 x * y 값을 리턴

  • Device_RealDiv

x/y 값을 리턴함


  • Device_Relu

Same shape as the input.

tf.keras.layers.ReLU(max_value=None, negative_slope=0, threshold=0, **kwargs)
  • Device_ReluGrad
tf.raw_ops.ReluGrad(gradients, features, name=None)
  • Device_ResourceApplyGradientDescent

알파와 델타를 뺴고 var을 업데이트한다.

  • Device_Softmax

활성화함수, 입력받은 값을 출력으로 0-1사이의 값을 모두 정규화하며,출력값들의 총합은 항상1

  • Device_SoftmaxCrossEntropyWithLogits

소프트맥스 교차 엔트로피의 cost와 gradients 를 계산하여 역전파한다.

tf.raw_ops.SoftmaxCrossEntropyWithLogits(features, labels, name=None)

  • Device_Sum

텐서 차원에서 모든 요소들의 합을 계산한다.

tf.raw_ops.Sum(input, axis, keep_dims=False, name=None)
  • Device_Tile

주어진 텐서를 타일링하여 새 텐서를 만들어낸다

e.g. tf.tile([a,b,c,d]) → [a,b,c,d,a,b,c,d] 이런 텐서를 얻을수가 있다.

  • Device_Unknown

unknown shpae ⇒ TensorShape(None), TensorShape([None, 256]) ....

  • Device__FusedConv2D

Conv2D의 data_format 속성은이 작업에서 지원되지 않으며 대신 'NHWC'순서가 사용됨. 내부적으로이 작업은 그래프 당 단일 스크래치 버퍼를 사용하므로 여러 버전이 병렬로 실행되는 경우 차단된다. 이것은이 연산자가 주로 메모리 사용을 최소화하기위한 최적화이기 때문이다.

  • Device__HostRecv
  • Host_FlushSummaryWriter
tf.summary.flush(writer=None, name=None)
  • Host_IteratorGetNext

주어진 Iterator에서다음 출력을 가져옴

tf.raw_ops.IteratorGetNext(iterator, output_types, output_shapes, name=None)
  • Host_LogicalAnd

Device_LogicalAnd 과 곂침

  • Host_WriteSummary

텐서의 summary를 적는다.

tf.raw_ops.WriteSummary(writer, step, tensor, tag, summary_metadata, name=None)
  • Device_Square

x안에 있는 요소들을 제곱으로 만들어준다

tf.math.square([-2., 0., 3.])[4., 0., 9.]
  • Device_Mean

평균을 구해준다. 예를들어서, 만약 value들이 [1, 3, 5, 7] 라고 하면 mean 은 4

  • Device_BroadcastTo

산술연산을 위해 호환되는 모양을 갖도록 배열을 만드는 프로세스.

x = tf.constant([1, 2, 3]) 
y = tf.broadcast_to(x, [3, 3]) 
print(y)
>> tf.Tensor( [[1 2 3] [1 2 3] [1 2 3]], shape=(3, 3), dtype=int32)

elastalert-test-rule example_rules/d.yaml

#이건 테스트 알람이가진않는다.

elastalert --verbose --rule example_rules/d.yaml

#이건 실행

 

 

**위치는 config.yaml이들어있는 파일에서 터미널열고실행해야함.

(config.yaml이랑 example_rules같이있는 파일)

테스트실행으로는 됬다 안됬다만 나타내고 알람이 안와서 제대로 됬는지 알수가없어서 알람을 받기위해 사용한 방법

 

kibana ---> elastalert_status_status index에 들어가보면 발생한 로그들이 저장되어있었다. 

(키바나 인덱스 들어가보면 로그인덱스찾아보기)

 

터미널을 여러개열고 ~~.yaml을 띄워둔다. 

 

아래는 config.yaml

rules_folder: example_rules
run_every:
  minutes: 1
buffer_time:
  minutes: 15
es_host: 203.246.~~  #이부분은 맞게고치기
es_port: 39200    #이부분은 맞게고치기
writeback_index: elastalert_status
alert_time_limit:
  days: 2

 

 

example_rules안에서 여러개 띄워준 터미널들 예시 (아래링크에서 rule들 참조하기)

https://elastalert.readthedocs.io/en/latest/running_elastalert.html#running-elastalert

 

Running ElastAlert for the First Time — ElastAlert 0.0.1 documentation

Setting Up Elasticsearch ElastAlert saves information and metadata about its queries and its alerts back to Elasticsearch. This is useful for auditing, debugging, and it allows ElastAlert to restart and resume exactly where it left off. This is not require

elastalert.readthedocs.io

d.yaml

name: Example frequency rule
type: flatline
index: logstash-*
timeframe:
- hours: 4
use_count_query: true
query_delay:
- minutes: 5
alert:
- "email"
- "slack"
email:
- "bbbbbbbbb@naver.com"
slack:
slack_webhook_url: "https://hooks.slack.com/services/T~~~~~~~~~~~~~~~~~U~~~9B1OvKw"
slack_username_override: 'h~~~~~~~~~~~~'
slack_channel_override: '#elastalert'
slack_emoji_override: ':pizza:'

ㄴㄴslack은 webhook연결참조하기~!!  참조로 이메일은 알람이 안뜨고 슬렉에서만왔다.

 

이렇게  rule들을 많이 띄워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yaml은 발생건수가 100000000개 이하이면 알람이온다!!!!!!!!!!!!

use_terms_query를 사용해서 필터를 안써도된다. 

이렇게 해주면 좀 기다리다보면 슬렉에서 알람이온다. 

 

slack.yaml

name: flaterrornumber
type: flatline
index: logstash-*
threshold: 10000000000
timeframe:
  hours: 1
use_count_query: true
use_terms_query: false
doc_type: "doc"

alert:
- "email"
- "slack"

email:
- "bbbbbbbbbbbb@naver.com"

slack:
slack_webhook_url: "https://hooks.slack.com/services/T0136~~~~~~~~~~~~~~~~2"
slack_username_override: 'hyo~~~~~~~~~~57'
slack_channel_override: '#elastalert'
slack_emoji_override: ':pizza:'

 

 

<파일째 원격으로 다운로드받기>

 

  •  -r 은 파일안에 속해있는것들 죄다 복사하라는 옵션이고
  •  -p는 32222포트를 의미 이옵션을 주지않으면 기본포트 22로 작동
  •  capstone7은 아이디
  • 204.243.112.129:~/ELK/data   이건 주소 : 원격파일위치 

 

scp -r -P 32222 capstone7@204.243.112.129:~/ELK/data C:\
scp -r -P 32222 capstone7@204.243.112.129:~/ELK/data ./

 

팁 ) SSH접속을 한다음 그안에서 명령어를 치면 ./부분이 로컬위치인데 로컬이 아니라 원격파일안위치에 복사가 된다. (원격->원격) 로컬 터미널에서 열고 명령어를 쳐야 제대로 복사가 되는것 같다.(원격->로컬)

 

<파일을 압축시켜서 원격으로 다운로드받기>

 

파일안에 대용량 파일들이 많을경우 속도가 너무 느려서 집파일을 만들어준다음 다운로드 해줬더니 그나마 빠르다.

 

1. ssh 원격서버에 접속한다음

 

2. 파일을 집파일로 만들어 저장해준다

tar -zcvf [파일명.tar.gz] [폴더명] 
#뒤 폴더명은 집파일로 만들 원래 폴더. 파일명은 새로 만들 파일명

3. 그리고 원격서버에서 생성된 집파일을 c드라이브안에 복사이동해준다

scp -P 32222 capstone7@204.243.112.129:~/datazip.tar.gz C:\

4. 아래그림처럼 다운로드가 진행된다.

 

1. ElasticSearch파일- bin - elasticsearch.bat 실행

2. kibana파일 - bin - kibana.bat 실행 - http://localhost:5601

3. logstash파일 - bin - logstash -f "C:\logstash-7.6.0\logstash-7.6.0\config\test2.conf

 

 

ELASTIC SEARCH명령어 윈도우용 - json 파일 업로드


curl -XPUT "http://localhost:9200/blog/user/dilbert"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name"" : ""Dilbert Brown""}"" 
curl -XGET http://localhost:9200/blog?pretty 

curl -XPUT "http://localhost:9200/classes/class/1"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title"" : ""Algorithm"",""professor"":""John""}" 
//document 추가 + 확인 
curl -XPOST "http://localhost:9200/classes/class/1"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_update -d "{ ""doc"" : {""unit"":1}}" 
curl -XGET http://localhost:9200/classes/class/1?pretty 
curl -XPOST "http://localhost:9200/classes/class/1"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_update -d "{ ""doc"" : {""unit"":2}}" 
//또다른방법  
curl -XPOST "http://localhost:9200/classes/class/1"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_update -d "{ ""script"" : ""ctx._source.unit+=5""}" 
//bulk파일 
curl -s -XPOST "http://localhost:9200/_bulk"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ata-binary @classes.json 
curl -XGET http://localhost:9200/classes?pretty 
//mapping ->이방식은 이미 생성된 index에 대한 내장필드를 설정하는방법이다. 
curl -XPUT "http://localhost:9200/yoonseo/class/_mapping?include_type_name=true" -d @classesRating_mapping.json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curl -XGET http://localhost:9200/yoonseo?pretty 
//데이터 넣어줌 
curl -XPOST "http://localhost:9200/yoonseo/_bulk"?pretty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ata-binary @classes.json 
curl -XGET http://localhost:9200/yoonseo/class/3?pretty 
//search 
curl -s -XPOST "http://localhost:9200/_bulk"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ata-binary @simple_basketball.json 
curl -XGET http://localhost:9200/basketball/record/_search?pretty 
검색1 
curl -XGET "localhost:9200/basketball/record/_search?q=points:30&pretty" 
검색2 //error 
curl -XGET "localhost:9200/basketball/record/_search -d" 
{   
   "query":{   
      "term":{ "points":30} 
   } 
}" 
//aggregation 
curl -XPOST "http://localhost:9200/_search"?pretty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ata-binary @avg_points_aggs.json 
curl -XPOST "http://localhost:9200/_search"?pretty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ata-binary @max_points_aggs.json 
curl -XPOST "http://localhost:9200/_search"?pretty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ata-binary @stats_points_aggs.json 

//bulk_aggregaion (basket지우고다시) 
curl -XPUT localhost:9200/basketball  
curl -XPUT "http://localhost:9200/basketball/record/_mapping?include_type_name=true" -d @basketball_mapping.json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curl -s -XPOST "http://localhost:9200/_bulk" --data-binary @bulk_basketball.json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curl -XGET http://localhost:9200/basketball/record/_search?pretty 
curl -XGET "http://localhost:9200/_search"?pretty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ata-binary @terms_aggs.json #에러 
curl -XGET "http://localhost:9200/_search"?pretty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ata-binary @stats_points_aggs.json 
curl -XGET "http://localhost:9200/_search?pretty --data-binary @terms_aggs.json 

curl -s -XPOST "http://localhost:9200/_bulk"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ata-binary @bulk_basketball.json 
curl -s -XPOST "http://localhost:9200/_bulk"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ata-binary @classes.json 

curl -X POST -H "Content-Type: application/x-ndjson" localhost:9200/_bulk --data-binary "@bulk_basketball.json" 
 
   "size": 0, 
   "aggs": { // 집계  
      "my_aggs": { // 집계 명 (사용자 정의) 
         "{metric_arrgs_type}": { // 집계 타입  
            "field": "{file_name}" // 집계 대상 필드 
             "order" : { "{field_name}" : "desc" } // 정렬 
         } 
      } 
   } 
}  //매트릭집계구조 GET /{index_name}/_search?pretty 

 

logstash -  대량 csv파일 업로드용

 

---> 에러 발생시 logstash - logs안에 있는 제일 최근 텍스트 열어서 확인하기

 

 

 

아래 참조

 

ELK 스택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 으로 데이터 분석 - 인프런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 기초부터 설명합니다. 최종단계로 ELK 스택을 활용하여, 세계 인구 분석, 주식 분석을 하시는 본인의 모습을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초급 중급 데이터 분석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 온라인 강의 ELK 스택

www.inflearn.com

 

https://www.notion.so/8-34dce95a424b4457a29e8d73ead82de3 

 

8장-세금

세금이 부과

www.notion.so

세금이 부과

⇒ 수요자, 공급자의 경제적 후생이 모두 감소함

(수요자는 전보다 높은가격을 지불, 공급자는 전보다 낮은 가격을 받기 때문)

⇒ 수요자와 공급자의 후생감소분 > 정부의 조세 수입 증가분

(= 소비자와 생산자의 후생은 감소하고 정부의 수입은 증가한다)

소비자 잉여

(수요자가 시장에 참여해서 얻는 이득)

생산자 잉여 (공급자가 시장에 참여해서 얻는 이득)

조세 수입 (제3자인 정부가 얻는것) = T x Q / 도로건설, 경찰조직, 공공교육, 빈민교육에 사용한다.

→but 정부의 이익이 정부에 귀속되는것이아니라 정부 지출에 의해 혜택을 받는 사람들에게 귀속된다

 

 

경제적 순손실

= 세금 부과등과 같은 시장 왜곡 현상에 따라 초래되는 총잉여 감소분

= 자중손실, 사중손실

 

위 그래프에서 경제적 순손실 =

C + E

⇒ 세금이 없다면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균형 상태에서 소비자와 생산자의 잉여가 극대화된다

e.g. 마이크는 (100달러받음) 메이의 집을 청소해줌

마이크의 기회비용은 80달러 / 메이의 효용은 120달러 // 마이크의 잉여 = 20달러 / 메이의 잉여 = 20달러

if 집청소에 대해 50달러씩 세금을 부과 ⇒ 둘다 불이익

결론 : 마이크는 소득을 올릴수없고 메이의 집은 지저분해질것

세금을 올리기전 잉여 (20+20)=40 달러 즉 40달러의

경제적 순손실

이 발생

→ 이유 : 소비자와 생산자들이 자유거래를 통해 이득을 취할수있는 기회를 세금이 봉쇄

 

수요곡선

= 소비자가 누리는 재화의 효용가치

공급곡선

= 생산자들의 비용

세금부여 → 한계소비자와 한계생산자는 시장을 떠난다 → 거래량의 하락

거래를 통한 이득 < 세금 → 거래자체가 무산

즉 상호이익이 될수있었던 거래가 세금부과로 인해서 불가능해지는경우 잠재적 잉여 = 경제적 순손실

 

경제적 순손실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 =

가격 탄력성

 

(a)(b) 공급이 탄력적일수록 세금에 의한 경제적 순손실이 커진다.

(c)(d) 수요가 탄력적일수록 세금에 의한 경제적 순손실이 커진다.

⇒ 수요와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 클수록 세금부과에 따른 경제적 순손실이 커진다. (암기)

 

논쟁거리 (정부의 세금)

  • 작은정부가 바람직

⇒ 세금부과가 커다란 경제적 순손실을 초래한다고 믿기때문

  • 현재가 바람직

⇒ 세금부과에 따른 경제적 순손실이 작다고 믿음 / 세금을 거둬서라도 문제를 해결하는것이 오히려 사회적 비용을 줄일수있다.

e.g. 노동관련세금 (사회보장세, 의료보험세, 연방소득세 )

  • 노동공급이 비탄력적이라고 봄→ 세금의 왜곡효과가 크지않다 (근로능력이 최고수준에 도달한 연령), 한가정의 주 소득원인 근로자들의 노동공급의 예)
  • 노동공급이 탄력적 → 세금의 왜곡효과가 크다 (일부사람들에게는 비탄력적이겠지만, 다른사람들은 경제적 유인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노동공급이 왜 탄력적인가?

    1) 근무시간 조절가능 (특히 초과근무)

    2) 부부가 같이 벌기 떄문에 누가 가사일을 할것인지 외벌이를 할것인지 맞벌이를 할것인지 자유로움

    3) 은퇴시기를 스스로 결정할수있음 / 은퇴해도 파트타임으로 일할수있음

    4) 지하경제 , 예를들면 마약거래, 탈세

    ⇒ 노동관련 세금은 근로자들의 일하는시간을 줄이고, 주부들의 취업을 억제하고, 노인들을 일찍 은퇴하게 만들것이고, 지하경제로 들어가게 할것이다.

아직도 논란중!!!!! (세금을 줄여야하는가 / 세금을 늘려서 정부가 더 많은 역할을 해야하는가)

 

조세수입

= 세금 x 거래량 (Q)

(c) 매우 무거운 세금이 부과되면 시장에서 아예 거래가 발생하지 않아서 조세수입이 0이 될수도있다.

**주의! 조세수입 네모에서 세로가 세금이고 가로가 수량이다 조세수입이 세금이 아니다 헷갈리지 말것

(d) 경제적 순손실의 증가속도는 세금의 증가속도를 능가한다.

→ 이유 : 경제적 순손실은 삼각형 부분인데, 삼각형 면적은 세금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 (암기)

e.g. 세금의 크기가 2배가 된다면,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가 2배가 됨 , 세금의 크기가 3배가 되면 밑변과 높이가 3배가 되어서 경제적 순손실은 9배가됨.

(e) 조세수입이 처음에는 증가하다가 어느선이상되면 궁극적으로 감소한다 / c를 참조하면 알수있다. 점점 많아질수록 0에 수렴하는때가 온다는것. (

래퍼곡선

)

 

<래퍼곡선과 공급주의 경제학>

  • 경제학자 래퍼는 미국이 랩퍼곡선의 하향점에 있다고 보고, 세율을 낮추면 조세수입이 늘어날것이라고 주장함. 하지만, 세율이 극단적 수준에 도달했다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음.

    e.g. 2차 세계대전중 영화제작 사업을 하는데 소득세율이 90%까지 올랐음. 영화4편만 만들면 최고 소득세율을 내야했고, 4편만 만들고 작업중단후 시골로 내려감

    ⇒ 즉 높은 세율은 사람들이 일을 덜하게 만들고, 낮은 세율은 일을 더하게 만든다는것

세금 인하를 통해 사람들이 노동공급을 증가하도록 유도한다는 주장(래퍼와 레이건의 주장) = 공급주의 경제학

 

중립견해 경제학자 = 전반적인 세율인하는 조세수입의 감소를 초래/ 일부 납세자들은 래퍼곡선의 하향곡선에 위치가능, 일부 사람들에게 만 세금을 감면하면 조세수입이 증가할것

 

결론 : 세금을 변화시킬경우 조세수입이 얼마나 증가할지, 감소할지는 세율만으로 알수없으며, 세금의 변화가 사람들의 행동을 어떻게 바꾸는지 알아야한다.

1.2b 기본원리6 : 일반적으로 시장이 경제활동을 조직하는 좋은 수단이다. + 7장개념

⇒ 정부가 수요자나 공급자에게 세금을 부과하면 사회적으로 시장 효율성의 이득을 상실한다

미시경제학 : 효율성과 형평성을 어떻게 조화시킬까를 포함해서 조세제도를 어케 잘만들수있을지

거시경제학 : 세금이 나라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정책담당자들이 조세제도를 통해 경제를 어케 안정시키고 경제성장을 촉진 시킬수있을지

 

 

 

 

 

 

 

 

 

https://www.notion.so/14-ae3bd37d0c0f480b9c90192ed547f573 

 

14장 -조업중단

휘발유 vs 수돗물 시장

www.notion.so

휘발유 vs 수돗물 시장

(휘발유를 파는곳은 여러곳이지만 수돗물을 파는곳은 하나뿐)

경쟁적

= 수요자와 공급자가 시장규모에 비해 매우 작아서 시장가격에 거의 영향을 미칠수없는 시장

시장지배력

= 어느 기업이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 그 기업은 시장지배력이 있다.

경쟁시장 = 완전경쟁시장
  • 수많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존재한다 (수요자와 공급자는 가격수용자)
  • 공급자들이 공급하는 물건이 거의 동일하다
  • 기업들이 자유롭게 진입하고 퇴출할 수 있다.(장기균형에 중요)

e.g. 우유시장

→ 우유의 시장가격을 주어진것으로 받아들임 / 시장가격은 농장이 생산해서 파는 우유양에 영향을 받지않음

= 총수입과 생산량은 비례한다

평균수입 = 가격 = 총수입을 수량으로 나눈값 (PxQ / Q = P )

한계수입(MR)= 한단위를 추가 판매함으로써 발생하는 총수입의 변화

  • 한계수입>한계비용 : 생산량을 늘려야한다
  • 한계수입<한계비용 : 생산량을 줄여야한다
  • 이윤이 극대화되는 생산량에서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일치함

⇒ 완전경쟁시장뿐 아니라 불완전 경쟁시장에 있는 기업들에게도 적용된다

**

한계비용곡선 = 기업의 공급곡선

(기업이 공급하고자 하는 생산량이 한계비용곡선에 따라서 결정되기 때문)

 

단기 조업중단조건

조업 중단

= 시장상황이 악화되어서 일시적으로 아무것도 생산하지 않는 단기적 의사결정 (고정비용 피할수없음)

e.g. 농부 토지 임대료는 고정비용 = 매몰비용 (이미 지출해서 회수할이유가 없음)

but, 퇴출할경우 토지를 팔아버릴수가 있다. 시장퇴출여부를 결정하는 장기적 의사결정에서 토지비용은 매몰비용이 아님.

퇴출

= 아예 시장을 떠나는 장기적 의사결정 (고정비용 존재하지않음)

 

  • 총수입 < 가변비용
  • TR < VC
  • TR/Q < VC/Q
  • P < AVC 평균가변비용

 

매몰비용 = 고정비용 = 지불하고 난 뒤 회수할 수 없는 비용 (고려해서는 안됨)

단기 조업중단조건은 매몰비용이 의사결정에 아무 관계가 없음을 보여주는 사례

e.g. 식당에서 장사도 안되는시간에 계속 장사하는 이유? 고정비용은 변하지않음. 장사를 안한다고 없어지는게 아님. 가변비용만 고려해야함

점심시간 영업에 소요되는 가변비용 > 매상 → 영업을 중단할것

장기 진입,퇴출조건

  • TR 총수입 < TC 총비용
  • TR/Q < TC
  • 가격, 평균수입 < 평균총비용
  • P < ATC

 

<그래프로 나타낸 이윤>

이윤 = TR - TC

이윤 =(TR/Q - TC/Q )xQ = (P-ATC)xQ

 

<경쟁시장이 공급곡선>

단기 (기업의 수가 고정된 경우) , 가격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수량을 생산할것

  • 가격이 평균 가변비용을 초과하는 한 기업의 한계비용곡선이 공급곡선 (그이하는 단기중단)
  • 시장에 공급되는 전체 수량 = 각기업이 생산하는 생산량의 합

장기 (기업의 진입,퇴출이 가능할경우) , 모든 기업이 같은 기술을 보유, 생산요소시장에서도 생산요소를 구입할수있다로 가정 , 즉 잠재적 기업을 포함한 모든 기업의 비용조건이 동일하다

종전 기업들이 이윤을 낸다 →잠재적 경쟁기업들이 징닙

종전 기업들이 손실을 낸다 → 퇴출

궁국적으로 장기적인 모든 기업들의 경제적 이윤은 0이된다

...

한계기업

= 시장가격이 지금보다 낮아질경우 퇴출해야하는기업

'<수업> > 맨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맨큐의 경제학 8장-세금  (0) 2021.01.15
맨큐의 경제학 13장-이윤/ATC  (0) 2021.01.15
맨큐의 경제학 11장-공공재  (0) 2021.01.15
맨큐의 경제학 10장-외부효과  (0) 2021.01.15
맨큐의 경제학 9장-국제무역  (0) 2021.01.15

https://www.notion.so/13-ATC-826f718988354f9f8dd680c1c16058e6 

 

13장-이윤/ATC

산업조직론 = 가격의 생산량에 관한 기업들이 의사결정이 그 기업들이 직면한 시장 여건에 따라 어떤 영향을 받는지 연구하는것

www.notion.so

산업조직론

= 가격의 생산량에 관한 기업들이 의사결정이 그 기업들이 직면한 시장 여건에 따라 어떤 영향을 받는지 연구하는것

  • 기업의 목표가 이윤을 극대화하는데 있다 (다시 기억!) , 이타적동기나 어떤 분야의 열정때문에 창업할수있지만 기업의 주목표는 최대한 많은 이윤을 남기는것
총수입

= 기업이 제품을 판매하고 받은 금액 ( P 가격 x Q 산출량 )

총비용

= 기업이 생산과정에 투입한 모든 요소의 시장가치 ( 기회비용 , 즉 명시적 비용 + 암묵적 비용 )

이윤 = 총수입 -총비용

 

<기회비용>

명시적 비용

= 현금 지출이 필요한 요소비용 (재료비,인건비)

e.g. 캐롤라인이 밀가루를 1000달러주고샀다면, 이돈주고 다른물건을 살 수 없으므로 기회비용은 1000달러

e.g. 근로자들에게 지급되는 임금도 기업의 기회비용이다!

암묵적 비용

= 현금 지출이 필요하지 않은 요소비용 (포기한 소득 + 사업에 투입된 금융자본의 기회비용 +)

e.g. 캐롤라인이 컴퓨터 프로그래머 일을 하면서 1시간에 100달러를 벌수있다. 공장에서 1시간 일하면 기회비용은 100달러이다 (프로그래머로 벌수있는 수입을 포기하는셈)

→ 포기한 소득도 비용에 포함된다!!!!!!!!!

e.g. 캐롤라인이 30만달러를 주고 공장을 인수함. 그돈으로 연리 5% 저축 예금을 들었다면 1만5000달러를 벌었을것. 이자소득 1만5000달러는 과자공장 사업의 기회비용에 포함되어야함 (회계사는 이 이자소득 1만 5000달러를 비용이라고 보지않음)

 

경제학자 vs 회계사

  • 경제학자 ( 암묵적 비용 + 명시적 비용)

**중요! 경제학자는 포기한 소득도 비용에 포함시킨다. e.g. 프로그래머임금이 100→500이 되면 공장을 접는다

  • 회계사 (명시적 비용)

e.g. 캐롤라인이 초기자금 30만달러를 저축한 돈 10만달러 + 연리 5%로 대출받은 20만달러를 합친것.

경제학자 : 연 1만 5000달러,차입금에 대한 연간 지급이자 1만달러 (= 명시적 비용) + 5000달러 (=암묵적 비용)

회계사 : 차입금에 대한 지금이자 1만달러 (연리 이자) 를 비용으로 계산 = 명시적 비용 ⇒ 빌린돈 20만 달러에 대한 이자만 계산한다

 

경제학적 이윤 = 총수입에서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을 포하한 모든 기회비용을 뺸 금액

회계학적 이윤 = 총수입에서 명시적 비용을 뺀 금액 → 회계학적 이윤이 더 많다

  • 경제학적 이윤을 내ㅇ만 사업을 지속할 수 있다. 모든 기회비용을 총수입으로 충당하고, 일부 수입을 남겨서 기업 소유주에게 보상이 돌아가도록 한다.

e.g. 농부는 수엽료로 시간당 20달러를 벌수 있다. 어느날 농부가 100달러어치 씨앗을 사서 10시간동안 파종했다. 농부의 노동의 기회비용은? = 300달러

(총 기회비용은 200달러 + 100달러 = 300달러)

e.g. 앞서서 곡물을 심어서 200달러어치 곡물을 수확할 수 있다면 농부는 회계학적 이윤? 경제학적 이윤?

→ 농부는 회계학적 이윤을 달성

 

 

<생산과 비용>

생산함수 = 생산 요소 투입량과 산출량의 관계

한계 생산물 = 생산 요소의 투입량을 한단위 증가시킬때 창출되는 산출량의 증가분

(a) (개중요) 한계생산물 체감 현상 = 근로자수가 증가할수록 생산함수는 더 평평해진다

= 생산요소의 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요소의 한계 생산물이 감소하는 현상

→ 근로자가 소수일떄, 주방기계를 쉽게 사용할수있다. 그러나 근로자수가 늘어남에 따라, (1)추가로 고용된 근로자들은 기존의 근로자들과 기계를 함께 사용해야함 + (2)혼잡함

(b) a와 연결되있음. 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비용곡선의 기울기가 급해지는것은 한계 생산물이 체감하기 때문임

산출량이 늘어난다 = 근로자가 늘어난다 → 작업장이 혼잡해진다 → 증가분이 점점 감소한다 (한계 생산물 체감 현상) → 근로자 수가 증가할수록 생산함수는 평평해짐 = 근로자가 점점 많으므로 총비용이 많이들어간다

 

 

 

<여러가지 비용개념>

 

고정 비용

= 산출량에 따라 변하지 않는 비용 (임대료 , 월급)

가변비용

= 산출량에 따라 변하는 비용 ( 재료비, 추가월급,

총비용 = 고정비용 + 가변비용

 

ATC 평균총비용

= 총비용을 산출량으로 나눈것 = 총비용이 생산되는 제품 모든 단위에 똑같이 배분될 경우 한 단위를 생산하는데 드는 비용을 말함

AFC 평균고정비용

= 고정비용을 산출량으로 나눈것

AVC 평균가변비용

= 가변비용을 산출량으로 나눈것

한계비용

= 총비용이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보여주는 수치 = 산출량을 한단위 증가시킬때 총비용의 증가분

한계 생산물이 증가할때 한계비용은 감소한다 (반비례함)

 

(1) 산출량이 증가하면 한계비용(MC) 도 증가한다

(2) 평균총비용곡선 (ATC) 는 U 자 모양이다

(3) 한계비용곡선 (MC) 는 평균총비용(ATC) 의 최저점을 통과한다.

 

MC (한계비용곡선)

- 우상향 (한계생산물이 체감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

산출량이 적을떄 : 종업원을 더 투입할경우, 한계생산물이 많기 때문에 추가비용이 상대적으로 적다

산출량이 많을떄 : 종업원을 더 투이할경우, 한계생산물이 적기 때문에 추가비용이 상대적으로 크다.

ATC (평균총비용곡선) = AFC + AVC

AFC(평균고정비용) - 산출량이 증가하면 고정비용이 여러단위에 분산되므로 점점 감소한다.

AVC(평균가변비용) - 한계생산물이 체감하기 떄문에 평균가변비용은 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 상승한다

효율적 생산량 = U 모양의 바닥(최저점) 은 평균총비용이 최소가 되는점

이 효율적 생산량을 기준으로,

MC < ATC : 평균총비용이 하락

MC > ATC : 평균총비용이 상승

⇒ MC , ATC 가 만나는 점에서 평균총비용이 최소가됨

 

 

 

< 전형적인 비용곡선 >

MC가 브이모양인 이유

(1) 첫번쨰 근로자가 투이보디었을때부터 한계 생산물 체감 현상이 나타나는것이 아니기 떄문에

(2) 두,세번쨰 근로자가 첫번째 근로자일떄보다 효율이 더 높을수도 있다. 혼자 일하는것보다 팀을 이루면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 → 초반에 MC 곡선이 감소함 (초반에는 한계 생산물이 증가하다가 나중에 감소함)

  • 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한계비용은 궁국적으로 증가한다
  • 평균총비용곡선은 U 모양이다
  • 한계비용곡선은 평균총비용곡선의 최저점을 통과한다.

 

<단기 비용과 장기비용>

단기 평균 총비용 / 장기평균 총비용 (규모는 산업마다 다름 / 생산설비 규모를 바꾸는데 얼마나 걸리는지가 기준임)

  • 단기

공장의 비용 = 고정비용

과거의 선택에 기초한 단기 비용곡선위에서만 생산할수 있음

  • 장기

공장의 비용 = 가변비용

더융통성을 발휘할수 있음

기업이 원하는 단기 비용곡선을 선택할수있음

e.g. 1000→1200 대로 자동차 생산량을 늘리려고함 → 근로자들을 더 고용함

단기: 평균비용이 증가한다

장기 : 공장규모와 근로자수를 조정가능함으로 평균총비용을 유지가능

 

규모의 경제

= 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장기 평균 총비용이 하락하는 현상 (노동의전문화)

→ 생산량이 많을수록 근로자들이 분업을 통해 전문화 할수 있기 때문

규모의 불경제

= 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장기 평균총비용이 상승하는 현상 (조정의문제)ㅜ

→ 업무조정문제 때문에 발생함

= 경영진의 업무량이 늘어서 비용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어려워짐

규모에 대한 수익 불변

= 장기 평균총비용이 산출량과 관계없이 일정한 현상

 

 

 

https://www.notion.so/11-5683f91876904c148761ebfdb0c4cec8 

 

11장-공공재

1.2c 기본원리7 : 경우에 따라 정부가 시장성과를 개선할수 있다.

www.notion.so

 

1.2c 기본원리7 : 경우에 따라 정부가 시장성과를 개선할수 있다.

배재성

= 사람들이 이 재화를 소비하는것을 막을수 있는가?

소비에 있어서 경합성

= 한사람이 재화를 소비하면 다른사람이 소비에 제한을 받는 속성

 

  • 애매한경우

 

공공재

e.g. 불꽃놀이를 보는걸 막을수없다 (배제성없다) / 많이본다고 방해가 되지않음 (경합성 없음)

 

<무임승차 문제>

무임승차자 = 어떤 재화를 소비해서 이득을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는 사람

e.g. 독립기념일에 불꽃놀이. 주민들은 각자 불꽃놀이에 10달러의 효용, 개최배용은 1000달러 (1000<5000 효율적) but, 관람권을 사지않아도 볼수있다.(= 무임승차할 유인이 있음 ) ⇒ 불꽃놀이는 개최 x

→ 시장실패 / 외부효과때문에 발생함

공짜로 불꽃놀이를 보는사람들 : 긍정적 외부효과 (++) / 불꽃놀이는 사회적으로 바람직, 사적이익이 될수없음

⇒ 개인의 입장에서는 합리적x / 사회적으로 바람직

즉 정부가 개입해서 해결해야함 (세금을 거둬서 불꽃놀이를 개최 / 민간기업이 달성할수없던 효율적인 결과가 정부에 의해 달성됨)

즉, 공공재는 배재성이 없기 떄문에 무임승차 문제로 인해서 민간기업이 공공재를 공급하는것은 불가능하므로 정부가 문제를 해결할수있다. (사회적 총이득 > 총비용→ 세금을 거둬서 공공재를 공급하면됨 ) ⇒ 모든사람들의 경제적 후생이 향상

 

  • 국방

배재성 x ( 특정개인들이 국방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게 할수없음)

경합성 x ( 한명이 국방의 혜택을 누린다고 다른사람이 못누리는것이 아님)

비싼 공공재

  • 기초과학 연구
특허

→ 배재가 가능하게 만들어줌

기초과학연구를 해도 다른사람들이 일반적 지식에 무임승차할 유인이 있음 → 국책 연구소/ 정출연

어떤 과학적 노력에 얼마나 지원해야하는지 결정하는것이 매우 어려운문제

  • 빈곤구제 정책

TANF / SNAP / Food Stamps

but 빈곤퇴치는 재화가 아님

(빈곤없는 사회에 사는 즐거움을 누린다고 다른사람들의 즐거움이 줄어들지않음 / 다른사람을의 관대함에 무임승차하려는 경향 = 편익만 누리려는 성향 )

⇒ 부자들에게 세금을 거둬서 가난한 사람들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킴 (가난한사람도 이득, 부자도 빈곤이 줄어든 사회에서 살수있어서 이득)

  • 등대 (현재는 공공재 / 과거에는 공공재 x)

선박 소요주들은 등대를 통해 얻는 혜택이 배제성도 없고 경합성도 없어서 무임승차할 유인이있음

⇒ 정부가 등대를 운영함

but 과거 (공공재 x)

19세기 해안에 민간이 소유하는 등대들이 존재. 등대 근처 항구 소유주에게 사용료를 받음/ 사용료를 내지 않으면, 불을 꺼버려서 배들이 항구에 들어오지 않았음

 

<비용, 편익분석이라는 난제>

정부가 어떤 역할을 함 + 어떤 종류의 공공재를 얼마나 공급해야하는지를 결정해야함

비용.편익 분석 = 공공재 공급의 사회적 비용과 편익을 비교하는 연구, 분석

e.g. 고속도로는 누구에게나 무료로 개방 →고속도로의 이용가치를 측정할 가격이 존재하지않는다.

→ 공공재의 적정 공급량은 사적 재화에 비해 본질적으로 결정하기 어렵다 (공공사업의 비용과 편익은 기껏해야 추정치일뿐)

e.g. 생명의 가치

  • 생명의 가치 무한대 > 신호등 편익

문제1 : 모든 길거리에 신호등 설치

문제2 : 모든 사람들이 안전장치가 허술한 소형차 대신, 최첨단 안전장치가 탑재된 대형차를 타야함

  • 생명의 가치에 금전적 가치를 부여 (죽지 않았다면 일생동안 얼마나 소득을 올렸을지)

문제 : 은퇴자나 불구자의 생명은 가치가 없어짐

  • 사람들이 받아들일 용의가 있는 위험수준과 / 그 위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사람들이 얼마나 보상받고자하는지를 알아보는것

학력,경력,임금수준 여러가지 요소들을 배제하고 계산 → 1000만 달러의 가치 (생명값)

신호등 설치 → 치명적 사고의 확률을 0.5프로 낮춤

신호등설치 편익 : 0.5 * 1000 =5만달러 > 설치비용 (1만달러) ⇒ 신호등을 설치한다

 

공유자원

공유자원은 경합성이 존재하기때문에 정부는 사용량에 관심을 가져야한다.

공유자원의 비극 = 공유자원이 사회적 관점에서 볼때 과다하게 사용되어 결국 고갈된다는 우화

(외부효과때문에 발생)

e.g. 마을 공유지에서 각자 집에있는 양에게 풀을 먹임. 그런데 양이 과다하게 많아지고 풀이 없어서 초원이 황무지가 되고 양털산업은 쇠퇴 → 마을 사람들은 생활 기반을 상실

왜 망하도록 방치되었나?

사적유인

+

사회적 유인의 괴리

떄문

초원이 폐허가 되지 않도록 하려면 마을 사람들의 공동노력이 필요함. if 마을 사람들이 공동보조를 취했다면, 그들은 양의 숫자를 초원이 유지되는 수준으로 조절할수있었을것이다. but, 마을 주민 누구도 자기양을 줄일 유인이 없었다. 각자 소유한 양은 전체숫자에 비하면 작은 부분에 불과했기떄문

  • 해결방법

(1) 양의 숫자를 규제 = 직접규제 (2) 양의 소유에 세금을 부과해서 외부효과를 내부화 = 교정적 조세(3) 초원에서 풀을 먹일수 있는 허가권을 경매에 부침 =오염권 거래제도

= 환경오염 문제

(4) 공유지를 분할하여 각각 소유하는것 =

구획짓기운동 (사유재산으로 만들어버리기)

 

공유자원 예

  • 깨끗한 공기와 물

환경파괴는 현대판 공유자원의 비극

  • 혼잡한 도로

교통혼잡 해결방법 (1) 혼잡통행료받기 = 교정적 조세 but 일정시간에만 혼잡하다면 (2) 출퇴근 시간대에만 통행료를 받음 (3) 휘발유에 세금을 부과 (차량운행도 줄이고, 교통혼잡도 해결가능 일타쌍피! but 불완전한 방법, 외부효과가 없어서 혼잡하지 않은 도로의 사용까지 억제함)

  • 물고기, 돌고래 같은 야생동물

해결하기 힘든 이유

(1) 여러나라가 바다에 접해있기 떄문에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함 (2) 하도 커서 국제 협약을 집행하기 어렵다

⇒ 낚시꾼들은 작은 물고기 잡으면 안됨/사냥꾼이 잡울수있는 동물숫자에 제한이있음 (규제들은 공유자원의 남용을 막아 동물의 멸종을 막기위해서임)

 

소는 왜 멸종하지 않을까 ? ⇒ 소는 사유재산이기 떄문이다.

 

결론 : 시장기능은 공기를 항상 깨끗하게 유지해줄수없다. 따라서 정부가 환경을 보호하고, 국방을 책임져야한다.

→ 지금까지 살펴본 모든 문제들의 공통적인 배경 = 재산권이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지않기 떄문에 시장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지 못한다는것. 즉 가치있는 재화이 법적 소유자가 존재하지 않기 떄문에 발생하는 문제들

해결방법은 1)재산권을 설정해주어 시장기능에 맏기는 방법 2)직접규제하에 해결할수도 있다.

 

 

 

 

 

 

 

 

 

 

https://www.notion.so/10-bd2f27c32b9740b2a86ee82635a39e0e 

 

10장-외부효과

1.2b 기본원리6 : 일반적으로 시장이 경제활동을 조직하는 좋은 수단이다.

www.notion.so

1.2b 기본원리6 : 일반적으로 시장이 경제활동을 조직하는 좋은 수단이다.

보이지 않는 손이 종이회사들에게 너무많은 다이옥신을 배출하지 않도록 하는가? NO

→ 시장은 많은 기능을 잘 수행하지만, 모든일을 잘하는것은 아님

 

외부효과

= 한 사람의 행위가 제 2자의 경제적 후생에도 영향을 미치고, 그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

부정적 외부효과

⇒ 제3자의 경제적 후생수준을 낮춤

e.g. 자동차 배기가스 (정부는 휘발유에 세금을 부과하여 휘발유 소비를 억제) / 개짖는소리 ( 지방정부들은 개 짖는 소리에 따른 소음공해를 금지함)

긍정적 외부효과

⇒ 제3자에게 이득을 줌

e.g. 역사적 건물들 , 아름답기도하고 역사적 의미를 기억하게하기때문 (건물주는 이득이 없어서 헐어버리는것을 예방하기위해 정부는 철거글 금지 or 유지관리비에 세금혜택을줌) / 신기술의 개발 ( 개발자들이 사회적 혜택을 완전히 받지못하기때문에 충분히 자원을 투입하지않음, 정부는 신기술 개발자들에게 일정기간 독점권을 주는 특허제도를 유지함)

외부효과가 발생 : 사회적 후생을 고려할때 , 시장에 참여하는 수요자와 공급자의 경제적인 후생뿐만 아니라, 방관자로 간접적인 영향을 받은 제 3자의 경제적 후생까지 감안해야함

 

부정적 외부효과

e.g. 알루미늄 생산과정에서 오염물질이 발생.

사회적 비용 = 사적비용(제조회사기 치르는 비용) + 외부 비용(제3자가 부담하는 비용)

Q_optimum 이 최적 생산량인 이유 : 수량이 이보다 작으면, 소비자가 누리는 알루미늄의 가치(수요곡선의 높이)가 사회적 생산비용보다 크고 , 수량이 더 많으면, 소비자가 누리는 가치가 사회적 비용보다 작기 때문.

⇒ 외부효과가 나타날경우 시장의 비효율성이 발생

 

시장균형 → 한계소비자가 누리는 효용가치(수요곡선) > 사회적 비용

최적 생산량을 달성하는 방법? : 알루미늄 생산자에게 생산량에 비례해서 세금을 부과하는것

(사회적 비용 = 수요 + 세금) →

외부효과의 내부화외부효과의 내부화

= 사람들의 유인 구조를 바꾸어 자신들의 행동이 초래하는 외부효과를 의사결정에서 감안하도록 만드는 과정 (위에 세금을 통해 시장성과를 개선하는 방법)

1.1d 기본원리4 : 사람들은 경제적 유인에 반응한다.

 

e.g. 휘발유세 세금 이유

1) 교통혼잡

2)교통사고

3)대기오염

⇒ 세금처럼 경제적 순손실 초래 x / 경제를 활성화, 휘발유세로인해 교통혼잡이 줄고, 교통사고가 감소하며, 대기환경이 개선

긍정적 외부효과

공급곡선 = 사회적 비용

Q optimum : 효율적 산출량 / Q market 시장균형 산출량

e.g. 교육

교육을 받음 → 생산성이 높아짐 → 높은임금 → 교육의 편익을 누림

(1) 국민들이 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현명한 투표자가 되어서 모든이들에게 도움이 되는 보다 나은 정부를 갖음

(2) 교육 수준이 높아지면 범죄율이 낮아짐

(3) 기술 지식의 진보와 파급이 촉진되어 생산성이 높아지고 임금도 올라감

외부효과의 내부화 / 해결책 ⇒ 긍정적 외부효과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 실제로 공립학교의 운영과 장학금 지급같이 교육에 많은 보조금을 쏟고있다

 

기술 파급효과 (긍정적 외부효과) = 한 기업의 연구, 개발 노력의 결과로 다른 기업들이 기술 진보의 혜택을 누리는 현상 (2가지)

e.g. 산업용 로봇시장(= 급속한 기술 진보를 대표함)

→ 새 디자인발견 - 사회전체가 활용할수있는 기술적 지식 → 다른 기업들에게도 이득을줌 →

긍정적 외부효과(1) 산업정책

= 기술 파급효과가 큰것으로 여겨지는 특정산업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 , 즉 기술개발촉진효과가 큰 산업을 선별해서 지원하는 정부의 개입

but , 기술파급효과의 크기를 측정하는것은 매우 어려움

(2) 특허제도

= 새로운 기술이나 물건을 발명한 사람한테 일정기간동안 신기술이나 발명품에 대해 배타적인 독점 사용권을 갖게해줌 , 신기술에 대한 재산권을 인정해줌 → 외부효과를 내부화 → 특허제도는 기업들에게 연구와 개발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도록 하는 경제적 유인을 제공

 

 

외부효과에 대한 공공정책

  1. 명령- 통제 정책 (직접 규제)

특정 행위를 의무화/ 금지

e.g. 독성이 있는 화학물질을 상수원에 버리는것은 범죄 (불법화 하는 직접규제수단) e.g. 교통수단이 환경오염을 야기하지만 교통수단을 금지할수는 없음

⇒ 오염을 완전히 없애기보다는 오염방지의 비용과 편익을 비교해서 사회적으로 혀용가능한 수준의 오염 배출량을 결정

  • 환경규제의 여러가지 형태

(1) 정부가 오염물질의 최고배출 허용량 결정

(2)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정화기술의 의무화

→ 각 산업의 특성과 적용할수있는 환경기술에 대해 잘 알아야한다. 그러나 정보 얻는게 쉽지않다

 

2.

시장원리에 기초한 정책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하는 경제적 유인을 제공 = 교정적 조세) - 더 선호/효과적2-1 교정족 조세와 보조금

교정적 조세 (=피구세)= 개별 의사 결정자들이 부정적 외부효과에서 비롯되는 사회비용을 감안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고안된 조세 /

낮은 비용으로 오염을 줄일수있다

e.g. 종이공장, 철강공장이 1년에 500톤의 오염물질을 강에버림. 이걸 줄이기위해

1) 직접규제 : 연간 300톤으로 규제

-300까지 줄이면 더이상 줄일 유인이 없음

2) 교정적 조세 : 오염물질 1톤당 5만달러 세금 부과 (교정적 조세가 높을수록 배출량감소, 너무 높으면 아예 문닫음) =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권리에 가격을 부과하는것

-공장들은 세금을 가급적 많이 줄이기 위해 노력함

⇒ 세금이기 떄문에 경제적인 순손실이 발생 but!! 그냥 세금과는 다름

⇒ 제3자의 후생도 사회적 후생에 반영되어야함. + 사회적 최적배분에 가까워지도록 움직임

경제적 효율 향상 + 정부의 조세수입도 증가

 

2-2 오염권 거래제도

e.g. 1년에 300톤 오염울질 배출하는 종이,철강공장

1) 직접규제 : 연간 300톤 이내로 줄이기

2) 오염권 거래제도 : 철공장은 종이공장에서 100톤의 오염물질 배출권을 받고 돈을 지불함 (총 600톤의 오염물질은 유지) /양자 모두에게 이득

→ 경제 효율성의 측면에서는 거래를 허용하는것이 좋은 정책 (자발적으로 합의에 도달/ 양자에게 모두 이득)→ 사회적 후생의 증가 → 오염배출권이라는 또다른 희소자원을 창조→ 배춸권시장이 형성됨→ 최종 배분상태는 효율적

 

 

교정적 조세 제도 vs 오염권 거래제도

  • 공통점 : 오염물질 배출에 대해 비용을 지불 / 환경오염의 외부효과를 내부화
  • 차이점 : 교정적 조세는 기업들이 정부에게 세금의 형태로 지불 / 오염배출권의 경우 다른 기업들에게 지불한다.

** 오염배출권을 소유한 기업이라도 비용을 치름 ,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행위의 기회비용은 오염배출권의 시장가격이기 떄문

if ) 교정적 조세 < 오염권 배출권 판매(더 유리한경우) : 600톤이상배출을 절대 허용안함 + 경매에 붙임

→ 형성되는 오염배출권 시장 균형가격이 바로 거기에 해당하는 교정적 조세가됨!

 

(a) 완전 탄력적 공급 - 수요곡선에 의해 오염배출량이 결정

(b) 비 탄력적 공급 - 수요곡선에 의해 오염배출의 가격이결정

 

"돈내고 환경을 파괴하는 행위를 허용해서는 안된다"

반론 1)

1.1a 기본원리1 : 모든 선택에는 대가가 있다 (= 기회비용이 발생한다)

오염을 제거하려면 지금 누리는 높은 생활수준을 포기해야함

반론 2) 깨끗한 환경도 하나의 재화 (수요의 법칙을 따름)

깨끗한 환경의 소득 탄력성은 0보다 크다. 잘사는 나라들은 꺠끗한 환경을 지키기위해 못사는 나라보다 더큰 비용을 지불할것. 환경보호 비용이 낮을수록 국민들은 더 적극적인 환경보호를 요구할것. (더 많은 수요)

⇒ 교정적 조세나 오염배출권 거래같은 환경보호에 대한 경제적 접근은 환경보호 비용도 낮추고, 국민들의 환경보호에 대한 수요를 더욱 증가하게 만듬

 

외부효과에 대한 공공정책

  1. 사회적 규범/공중도덕
  1. 자선행위 (졸업생들이 지부금을 내는것 / 정부는 기부금을 소득세에서 공제해주는 세재를 통해 외부효과에 대한 사적인 해결을 촉진함)

-사적이익 동기-

3. 다른 사업들의 통합 ( 과수원, 양봉업자)

→외부효과를 내부화

4. 이해 당사자들끼리 계약을 맺음 (과수원, 양봉업자)

→ 외부효과로 발생하는 비효율을 제거하고 양자에게 이득이되는 결과

 

코즈의 정리

= 민간 경제주체들이 자원 배분 과정에서 아무런 비용을 치르지 않고 협상할 수 있다면, 외부효과로 인해 초래되는 비효율성을 시장에서 그들 스스로 해결할수있다는 정의 / 시장은 스스로 효율적인 결과에 도달한다 / 한마디로 민간 경제추제들이 외부효과를 스스로 해소할 가능성이 있다는것 (협상을 통해 양측 모두에게 이득이되는 효율적인 결과에 도달가능)

e.g. 강아지 짖는소리로 이웃이 피해를 봄 (딕 강아지주인/제인은 이웃)

딕의 혜택 > 제인의 고통 → 강아지 키움 (제안불가능)

딕의 혜택 < 제인의 고통 → 강아지 동물보호소 (제안가능)

  • 제인이 딕에게 강아지를 처분하면 보상하겠다고 제안함 ( 협상을 통해 외부효과를 해소가능하다)
거래비용

= 이해 당사자들이 협상을 통해 협의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부담하는 비용

e.g. 딕과제인이 말이안통해서 통역사를 고용해야함 / 외부효과문제해결 이득 < 통역비용 → 문제해결유인이 없다

e.g. 변호사 비용

e.g. 전쟁, 파업 → 협상실패 (합의에 도달하는것은 어렵다 + 합의에 실패했을경우 대가가 크다).

 

문제1 )딕의 즐거움 500달러 제인의 고통 800달러사이에서 보상금지급액 정하는것도 문제

문제2 ) 협상 당사자들이 많을떄 , 효율적인 협상 결과를 달성하기 어렵다

⇒ 자발적인 협상이 불간을할때

정부

가 일정한 역할 수행

정부의 제도적 기능중 하나 = 집단행동을 취한다

 

https://www.notion.so/9-2540040dc46b49ed9243acc55079faa4 

 

9장-국제무역

<국제무역의 결정요인>

www.notion.so

<국제무역의 결정요인>

e.g. 나라는 아이소란드, 물건종목은 섬유라고 할때

국제가격

= 세계시장에서 형성된 가격

국내가격

= 섬유의 기회비용, 나라사람들이 섬유 한단위를 얻기위해 다른 물건들을 얼마나 포기해야하는지

  • 국제가격 > 국내가격 → 수출국 (아이소랜드 섬유생산비용이 낮음/ 다른나리에 비해 섬유생산에 비교우위가 있다)
  • 국제가격 < 국내가격 → 수입국 (아이소랜드의 섬유생산비용이 높다 / 다른나라들이 섬유생산에 비교우위가 있다)

수출국일 경우 (생산자이득/소비자손실/나라전체 경제적 후생증가)

  • 자유무역이 허용되면 국내가격은 상승하여 국내가격과 같아짐
  • 국내 수요곡선 → 국제가격(세계시장의 수요곡선/수평)

++ : 국내 섬유생산자들은 이득 (가격 상승떄문)

— : 소비자/수요자 들의 손실

공급자 들의 추가적인 잉여 > 수요자 들이 상실하는 잉여 ⇒ 총잉여 증가 ⇒ 경제적 후생증가

수입국일 경우 (소비자이득/생산자손실/나라전체 경제적 후생증가)

  • 자유무역이 허용되면 국내가격이 하락함
  • 국내 공급곡선 → 국제가격 (세계시장의 공급곡선/수평)

++ : 국내 소비자들은 이득 (가격의 하락때문)

— : 국내 공급자들은 손실

소비자 잉여증가분 > 생산자 잉여 감소분 ⇒ 총잉여증가 ⇒ 경제적 후생증가

 

득을 보는사람들이 손해를 보는사람들에게 손실만큼 보상을 해줘도 여전히 후생의 증가 ⇒ 자유무역은 모든사람들을 이롭게한다 but, 패자에 대한 보상은 흔히 일어나지않음

⇒ 시장개방을 통한 자유무역은 나라전체의 경제적 파이를 크게하는 효과는 있지만 승자와 패자간 보상이 없다면 일부 국민들에게 돌아가는 파이는 작아질수도있다

(즉 파이를 키우는 효율성은 높아질지언정, 파이를 나누는 형평성은 그리좋지않다는것)

 

<관세부과의 효과> - 수입시에만

관세 =외국에서 생산되어 국내에서 소비되는 물건에 부과되는 세금 / 세금의 일종이라 경제적 순손실을 초래함

수입쿼터 = 수입량을 제한하는것 관세와 효과가 거의같다.

관세는 수입될 때에만 문제가 된다!!!!!!!!!!!!!!!!!!!!

수입관세는 수입물량을 감소시켜 시장균형을 무역이 없던 상태에 가깝도록 변화시킨다.

D : 섬유의 과잉생산으로 인한 경제적 순손실

F : 과소소비에 의한 경제적 손실

 

  • 관세부과후

→ (가격의 상승) 섬유 수요량 감소 + 공급량 증가

→ 국내 생산자들은 이득 , 국내 수요자들은 손실을봄 (수입되었을떄랑 반대효과)

Q. 연습문제 9장 8번문제 -(a)에서 그림 9.4에서의 아이소랜드에서의 섬유소비량과 생산량을 결정하라고 하였는데 답에서 판매자는 국제가격에서 판매함으로 공급량은 변하지 않고 Q1s로 유지된다고 합니다. 교과서 본문의 내용에서는 Q2s로 변한다고 되어있는데 무엇이 맞는것인지 헷갈립니다

.

 

 

<국제무역의 또다른 이득>

(1) 다양한 소비 기회의 제공

e.g. 국내맥주만 마시다 해외맥주도 마실수있어짐

(2) 규모의 경제를 통한 생산비의 하락

e.g.세계시장 대상으로 대량으로 생산되는경우 단위당 적은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해진다(현상) = 규모의 경제

(3) 경쟁의 촉진

e.g. 담합으로 가격 동결같은건 할수가 없어짐.

시장지배력

은 시장실패의 원인이됨. 자유무역은 경쟁을 촉진하여

보이지 않는 손

이 효과적으로 기능할수있도록 해줌

(4) 새로운 아이디어의 전파

e.g. 가난한 농업국가가 컴퓨터 혁명을 경험할수있다

 

< 관세와 수입쿼터제 차이점/공통점>

무역제한 정책 옹호 논리

e.g. 섬유를 수입하기로함

섬유회사들은 반대 : 국내 섬유회사들을 해외경쟁에서 보호해야합니다!!

다음은 섬유회사들의 주장과 이에 대한 경제 전문가들의 대응 (반대의견과 반대에대한 반대의견)

 

(1) 일자리 상실에 대한 우려

국내무역이 국내 일자리를 파괴할것이다

가격의 하락 → 섬유생산 하락 → 고용의 하락 → 섬유 근로자들은 일자리를 잃을것이다

반론

: 일자리를 파괴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함 / 섬유산업에서 아이소랜드가 비교우위에 있는 다른 산업으로 이전해야할것.

즉 단기적으로는 일부 근로자들에게 고통을 주겠지만, 전체 국민들은 더 높은 생활수준을 누릴수있다.

무역이 일자리를 창출한다고?

반론

: 자유무역은 절대우위가 아니라 비교우위의 원리에 따른것. 한나라가 다른나라보다 모든 생산에서 효율적이라해도 모든나라는 무역을 통해 서로 이득을 볼수있음. 모든나라의 근로자들은 근라에 비교우위가 있는 산업에서 더 많은 일자리를 찾을 수 있을것

 

(2) 국가 안보에 대한 우려

철강공급을 외국에 의존 → 해외공급이 중단되면 아이소랜드는 국방을 위해 충분한 철강을 생산할 능력이 없다고 여길것

반론

: 정당한 우려가 있을경우, 주요 산업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다는점을 인정. but 이런 주장은 소비자의 희생을 대가로 이득을 얻고자하는 생산자 (국방정문가가 아니라 업계 대표자가 이런주장을 할경우 신빈성이 없다) → 업계 대표자가 주장할경우 이면에는 외국과 경쟁을 막으려는 유인이 존재

실제 군부는 방위산업의 소비자, 저렴한 수입자로 이득을 볼수도 있다. 저렴한 철강가격으로 군부에 무기를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수있다

 

(3) 유치 산업 보호 논리

경쟁할수있을때까지 임시적으로 무역장벽을 통해 보호받아야한다. 일정기간이 지나 성숙해져 외국과 경쟁할수있다.

반론

: 유치산업보호를 실행에 옮기기 어렵다.

승자 알아맞히기

(어느산업이 이익을 내고 살아남을지)는 매우 어려움. 정치적 영향력의 입김이 닿을땐 정치적 고려까지 개입되어 더욱 어려움. 한번 보호되면 철회하기도 어려움

대부분 회사 소유주들은 장기 이윤을 얻기위해 단기적인 손실을 감수한다. 그리고 많은 기업이 해외경쟁에서 국가의 보호없이 스스로 알아서 잘 살아남음

 

(4) 불공정 경쟁 논리

자유무역은 모든 국가들이 같은 규칙하에 움직여야 성립한다. (각기 다른 법과 규제하에 있다면 불공정하다)

반론

: e.g. 옆나라에서 섬유산업을 지원하기위해 세금감세조치를 실행 → 가격이 낮아짐

자국 섬유회사들을 괴로울테지만 수요자들은 너무나 이득

 

(5) 협상 전략으로써 보호무역 논리

e.g. 아이소랜드는 이웃나라에 밀수입에 대한 관세를 철폐하지 않으면 섬유에 관세를 부과할것!!!(으름장)

→ 관세를 폐지한다면 자유무역에 도움을 준다

반론

: 항상 효과를 발휘하는게 아니다

이웃나라가 싫다고 한다면?

1) 위협을 실행에 옮겨 경제적 후생수준을 낮춤

2) 위협을 철회하여 국제사회에서 권위를 상실

 

 

<자유무역을 실현하는 방법>

(1) 무역제한 조치들을 일방적으로 철폐 (영극,칠레,우리나라)

(2) 다자간 협상을 통해 다른나라들과 함께 공동보조를 취하면서 무역장볍을 철폐

→ 교역 상대국이 모여 전세계의 무역장볍을 함께 축소

e.g. 북미자유무역협정 (NAFTA)/GATT (무역자유화 협상) 2차 세계대전 직후 40%에 달하는 회원국들의 평균 관세율을 오늘날 5%까지 낮춤 - WTO 에 의해 집행되고있음

** WTO - 국가간 무역협정을 집행하고, 무역협상 여건을 조성하며, 회원국간 무역분쟁을 해결하는것

단점

:

(1)협상이 실패할경우 결과는 일방적인 자유화조치보다 무역이 더 제한적일수있음

장점 :

(1)무역장벽을 자국뿐만 아니라 외국도 함께 낮추기 때문에 일방적인 자유화보다 자유무역을 달성할 가능성이 큼

(2) 정치적인 이점이 있다. 일방적으로 수입관세를 낮추려고 한다면, 섬유 생산자들이 반대할것 + 소비자들은 수가 너무 많아서 조직적인 지지운동을 벌이기 어려움

→ 밀가루 관세를 낮추는 조건으로 섬유관세를 낮출것 : 밀생산농민들은 지지할것 ⇒ 정치적 지지를 이끌어냄

 

섬유 소빗세 → 소비자 잉여만 변함/ 생산자 잉여 변화없음

수출보조금 지급 → 소비자 잉여 변화없음 / 생산자 잉여만 변함

 

https://www.notion.so/7-ff12002a3f4846eeb31784d667327ae8 

 

7장-소비자잉여

파는 사람은 높은 가격을 받고싶어하고, 사는사람은 낮은 가격을 원함 . '적절한 가격' 이란?

www.notion.so

 

파는 사람은 높은 가격을 받고싶어하고, 사는사람은 낮은 가격을 원함 . '적절한 가격' 이란?

지금까지의 분석은

실증적

(어떠한가) 였지,

규범적

(어떠해야하는가) 는 아니였다.

 

후생 경제학

= 자원의 배분이 사람들의 경제적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

**

후생

= 사람들의 생활을 넉넉하고 윤택하게 하는 일

(1) 공급자와 수요자가 시장에 참여하면서 얻는 이득

(2) 사회 전체가 이득의 총합을 어떻게 극대화 할수있는지

(3) 이런 분석을 통해 근본적인 결론을 도출 ( 수요자와 공급자가 누릴 이득의 총합이 수요와 공급의 균형점에서 극대화 됨)

1.2b 기본원리6 : 일반적으로 시장이 경제활동을 조직하는 좋은 수단이다.

후생경제학

을 공부하면 이를 좀더 자세히 이해가능해짐

..............................................................................................................................................................

[소비자 잉여]

 

지불용의

= 구입 희망자가 어떤 재화를 구입하기 위해 지불하고자 하는 최고 금액 / 구매 희망자가 이 물건에 얼마나 가치를 부여했는가 (지불용의를 초과하는 가격을 내고 사지 않을것)

소비자 잉여

= 구입자의 지불용의 - 구입자가 실제로 지불한 금액 / 소비자가 시장에 참여해서 얻는 이득

e.g. 엘비스 프레슬리의 첫 음반을 경매에 부쳤다. 앨범이 하나일때 , 80달러 보다 높은 가격을 부를때 끝남. 테일러가 구매할것임 Q. 캐리의 지불용의가 80달러이면 경매가가 80달러일때 캐리와 테일러는 살 용의가 있는것 아닌가? 163쪽에서 테일러가 80달러를 주고 음반을 가져갔다고(7째줄, ' 테일러는 결국 음반주인에게 80달러를 주고 음반을 가져갈것이다') 하는데 80달러가 초과되야하는것 아닌가? - yes
  • 80달러에 테일러에게 낙찰되고, 테일러는 20달러의 소비자 잉여를 누림
  • 나머지 3명은 아무런 소비자 잉여를 누리지 못함

e.g. 음반이 2장일때, 두장은 같은 가격에 판매되어야하고, 한사람당 음반 1장만 구입할수있다.

  • 70달러에 입찰됨 , 테일러의 소비자 잉여는 30달러 / 캐리의 소비자 잉여는 10달러
  • 시장에서 소비자 잉여의 합계는 40달러

위 수요곡선에서 높이 =

지불용의
  • 수요곡선을 이용한 소비자 잉여 계산법

한계소비자 = 그 가격보다 조금이라도 높은 가격에서는 시장을 떠나버리는 소비자

어느 수량에서든 수요곡선에 의해 나타나는 가격 = 한계소비자의 지불용의

e.g. 수량4인 경우 수요곡선의 높이는 50 ( 가가의

지불용의

, 이경우 가가는

한계소비자

) / 수량이 3인경우 수요곡선의 높이는 70 ( 리한나의

지불용의

, 이경우의 리한나는

한계소비자

)

 

지불용의 ( 수요곡선 ) - 시장가격 = 소비자 잉여 (삼각형 면적)

(a) 최초 소비자잉여 = 삼각형 ABC

계단식에서 수요자가 매우 많아지면 궁극적으로 매끄러운 직선모양이됨

(b) 소비자 잉여 = 삼각형 ADF (사각형 = 최초 소비자에게 추가로 발생한 소비자잉여 / 삼각형 = 새로운소비자잉여)

가격 하락 → 수요량 증가 → 삼각형 면적 증가 → 소비자잉여 증가 (전보다 적은 금액을 지불하고 새로운 소비자가 시장에 참여하기 때문)

 

 

소비자잉여가 경제적 후생수준을 측정할수있는 좋은 지표 ? NO

  • 정책담당자가 소비자의 취향을 만족/존중한다면 소비자 잉여는 경제적 후생을 측정하는 좋은 지표

e.g. 마약 중독자들은 마약에 대해 아주 높은 금액을 지불하고자함. 그러나 낮은 가격에 마약을 구입해도 큰이득을 얻었다고 말할수없음 , 마약중독자는 스스로를 돌보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 후생을 측정하는 지표가 될수없다

⇒ 지불용의는 소비자 후생을 나타내는 좋은 지표가 아님. but , 대부분의 시장에서 소비자 잉여는 경제적 후생을 반영함

**경제학자들은 소비자들을 합리적인 사람이라고 가정함 + 사람들의 선호는 존중되어야한다고 믿음

 

예상문제 )

지불용의는 모든 시장에서 경제적 후생을 측정하기 좋은 지표이다 (x)

지불용의는 모든 시장에서 경제적 후생을 측정하기 적합하지 않다 (x)

지불용의는 대체로 시장에서 경제적 후생을 반영한다 (0)

 

..............................................................................................................................................................

[생산자 잉여]

(기회) 비용

= 재화를 생산하기 위해 생산자가 포기해야 하는 모든것의 가치 (재료비용 + 시간의 가치 )

공급자들은 자신의 비용보다 가격이 높아야 서비스를 제공할것, 일치하면 제공하는것과 하지않는것이 마찬가지

(해당금액을 초과해야 서비스를 제공할것)

생산자 잉여 = 공급자가 실제로 받은 금액 - 그 물건을 제공하는 비용

공급곡선의 높이 = 공급자의 비용

 

e.g. 집 페인트칠을 해야함. 4사람의 페인트공이있음. 가격은 높은가격부터 입찰

입찰가격이 600달러 → 앤디만 남을것임 ( 생산자 잉여 = 100달러)

e.g. 집 2개 페인트칠을 해야함. 한사람은 한집만 할수있고, 둘다 같은 비용을 지불함

800달러 → 파블로와 앤디( 파블로 생산자잉여 =200 / 앤디의 생산자잉여 =300/ 총 생산자잉여 =500달러)

 

한계공급자 = 가격이 그 이하로 내려갈 경우 시장을 제일 먼저 떠나는 공급자

e.g. 페인트칠해야하는 주택이 4체, 공급곡선의 높이는 900달러 (= 한계공급자인 빈센트가 페인트칠하는 비용)

페인트칠해야하는 주택이 3체 , 공급곡선의 높이는 800 (= 한계공급자인 크라우드가 페인트칠 하는 비용)

(a) 생산자 잉여 = ABC

(b) 생산자 잉여 = ADF ( 직사각형 = 기존 생산자잉여 에서 증가한 부분 / 삼각형 = 새로운 생산자잉여 )

가격 증가 → 생산자 잉여의 증가 (ABC→ADF) → 높아진 가격에 자극받은새로운 공급자들이 들어옴 , 즉 공급량이 늘어남

..............................................................................................................................................................

자유로운 시장기능에 따른 자원배분이 과연 바람직한것인가? / 선의의 사회 계획가가 사회 구성원의 경제적 후생을 극대화하고자함 (효율성만을 목표) but 현실에서는 형평성도 주요 관심사항

  • 총잉여를 사회 전체의 경제적 후생수준을 측정하는 지표로 삼는다.

총잉여

= 생산자 잉여 + 소비자잉여 ( 잉여 = 시장 참여자들에게 분배되어야하는 파이 )

 

소비자 잉여 = 소비자가 누리는 가치 - 소비자가 지불한 금액

생산자 잉여 = 공급자가 받는 금액 - 공급자가 치르는 비용

총잉여 = 소비자가 누리는 가치 - 공급자가 치르는 비용

효율성 = 사회 구성원이 누리는 총잉여를 극대화 하는 자원배분의 속성 (= 과연 가장 큰 파이가 만들어졌는가 )

→ 자원 배분이 총잉여를 극대화할때

e.g. 재화 생산이 생산비가 가장 낮은 생산자에게 의해 이루어지지 못한다면 자원배분은

비효율적

재화에 가장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소비자가 소비하지 못한다면 역시 자원배분이

비효율적

비 효율적 → 효율적 : 총잉여 가 증가한다

형평성 = 경제 발전의 혜택이 사회 구성원에게 균등하게 분배되는 속성 ( = 파이가 균등하게 분배되었는가)

→ 소비자와 공급자 사이에 경제적 후생이 균등하게 분배됨

ㄴ 수요와 공급이 균형에 도달했을때

총잉여 = 그림 세로축에서 균형거래량까지 수요곡선과 공급곡선 사이에 있는 부분

  • A-E 구간 수요자만 재화를 구입할것 / E-B 구간 수요자는 구입하지 않을것
  • C-E 구간 공급자만 재화를 공급하려할것 / E-D 구간 공급자는 공급하지않을것

⇒ 자유로운 시장은 공급된 재화를 지불용의가 가장 큰 수요자에게 배분함

⇒ 자유로운 시장은 생산비가 가장 저렴한 공급자에게 수요가 배분되도록함

⇒ 자유로운 시장에서 생산된 재화의 수량은 소비자잉여 + 생산자 잉여 (총잉여) 를 극대화하는 수량

 

수요곡선 = 수요자가 이 재화에 대해 부여하는 가치 / 공급곡선 = 공급자의 비용

Q. 총잉여가 다음과 같은지? (첫번쨰그림은 틀림/ 두케이스 모두 두번째 그림에 해당함)
  • 균형 거래량보다 적은 수량 (Q1)

수요자가 느끼는 가치 >생산비용$

생산량과 소비량이 증가하면 총잉여가 증가함

  • 균형 거래량보다 많은 수량 (Q2)

수요자가 느끼는 가치 < 생산비용

생산량을 줄이면 총잉여가 증가함

 

⇒ 균형 거래량일 때 : 총잉여가 극대화됨 = 시장균형에서 자원이 가장 효율적으로 배분됨

즉, 선의의 사회 계획가는 시장에 나타난 결과를 그대로 두면됨 (효율만을 추구하기 때문)

= 자유방임 정책 ( 레세페르 ) = 하도록 허용한다 / 사람들이 웒는대로 하도록 해준다

 

e.g. 장기시장의 자유방임정책은 적절한가?

장기시장을 자유거래로 돌린다면 : 신장 부족 사태가 해결될것

비판 : 장기 시장은 가난한 사람의 희생으로 부자들만 이득을 볼것.

비판의 비판: 현재 상황은 충분히 공평한가?

 

결론 : 수요자와 공급자는 자신의 후생에만 관심을 가짐 /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수요자와 공급자 전체의 이득을 극대화하는 균형으로 인도됨. 이는 다음과같은 두가지 가정하에서 이루어짐

  • 시장이 완전 경쟁적

하지만, 현실은 소수의 공급자나 수요자가 시장가격을 조절할수있음 (시장 지배력 ) . 시장 지배력은 가격과 수량을 시장균형에서 이탈하게함 → 비효율적

1)

시장 지배력

= 시장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

  • 시장 성과가 수요자와 공급자 에게만 적용

2)시장에 전혀 참여하지않는 제3자에게 영향을 미칠수 있음 (

외부효과

e.g. 환경오염)

외부효과가 존재할경우, 경제적 후생은 수요자가 느끼는 가치와 공급자의 비용외 다른 요소의 영향을 받음 → 외부효과를 고려할경우 → 비효율적

 

외부효과, 시장지배력 ⇒ 시장 실패라는 일반적인 현상의 일종

시장 실패

= 자유방임 상태의 시장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지 못하는 현상

→ 정부는 정책을 통해 문제를 해소, 효율을 향상시킬수있음.

미시 경제학자

들은 실패원인과 치유방안에 대해 연구함

 

www.notion.so/7-ff12002a3f4846eeb31784d667327ae8

www.notion.so/7-ff12002a3f4846eeb31784d667327ae8

https://www.notion.so/6-8a9c8acb9e7d4066a689fd320e047421 

 

6장-가격통제(하한상한)

<가격 통제>

www.notion.so

 

<가격 통제>

가격 상한

= 어떤 재화 판매가격의 법정 최고치 (소비자연대 로비 성공할경우)

가격 하한

= 어떤 재화 판매가격의 법정 최저치 (제조업협회 로비가 성공할경우)

⇒ 정부가 가격을 시장균형과 다른수준으로 유지하려는 시도

 

소비자들은 낮은 가격을 원함/ 생산자들은 높은 가격을 원함 ⇒ 이해관계가 상충됨

..............................................................................................................................................................

[가격 상한제]

*실효성 = 실제로 효과를 나타내는 성질

(a) 실효성 없음

(b) 가격 상한 2달러가 시장가격이 됨 → 수요량 이 공급량보다 많아서 아이스크림이 부족해짐 → 50명의 소비자들은 아이스크림을 먹지 못함 (아이스크림 부족현상)

→ 할당방법의 고안 : 선착순 배분방식/ 같은 인종에게만 공급 / 친구나 친척들에게만 공급

할당방법은 바람직 하지 못하고, 불공평하다 (

비효율적

) ↔ 자유경쟁시장(효율적, 비차별적, 가격이 재화를 배분))

 

목적 : 소비자들의 부담을 덜어줌

결과 : 모든 소비자들이 혜택을 누리지 못함

 

예1) 주요소에 늘어선 줄

5장에서 OPEC 석유값 상승인상 (공급 감소) → 휘발유 부족사태 → 정부의 휘발유 가격 상한제 → 운전자들은 몇시간을 서서 기다려야함

(a) 실효성 없음

(b) 생산자들은 Qs 만큼 팔고, 소비자들은 Qp만큼 사려고함 ⇒ 심각한 휘발유 부족

결론 : 휘발유 가격통제는 폐지됨

 

예2) 임대료 규제의 단기효과와 장기효과

미국은 집주인이 세입자들에게 받을수 있는 임대료 상한을 규제하고있음

목적 : 가난한 사람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결과 : 저소득층의 생활수준을 향상 시키는데 매우 비효율적

(a) 단기효과

수요와 공급이 비탄력적 → 물량 부족이 적다

주된 효과 : 임대료 하락

(b) 장기효과

공급측면(탄력적) : 임대료가 낮아짐 → 임대주택 주인들은 임대주택을 새로 짓지않음 + 기존 임대주택을 제대로 유지하지도 않음 (유지에 돈 써봤자 더 들어오는돈이 없기떄문)

수요측면(탄력적) : 그전에는 구할수 없던 사람들이 임대주택을 구함 + 도시유입인구가 늘어남

수요와 공급이 탄력적 → 공급은 크게 줄고 , 수요는 크게 늠 → 물량부족이 커짐 (주택 부족 규모가 커진다)

 

문제점 1 ) 주택부족 + 세입자들이 줄슴 → 소비자들의 요구에 신경쓰지 않음 + 경쟁력을 위해 가꾸지 않음 → 질낮은 주택

문제점2 )실제로 임대주택 실시하는 도시 ⇒ 다양한 방식으로 세입자들에게 주택을 배당함. (선착순, 아이 유무 , 인종차별 , 뇌물 ....) 비합리적인 배당방법 발생 *뇌물 + 임대료 = 시장임대료에 가까움

문제점 해결 : 추가적인 규제를 도입 (e.g. 인종차별 금지, 임대주택 기준이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의무화 )

but 이런 규제들은 집행하기도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든다

실질적인 문제점 해결

: 임대료 상한을 폐지 , 시장경쟁의 힘에 따라 주택시장이 운영

 

..............................................................................................................................................................

[ 가격 하한제 ]

 

(a) 실효성 없음

(b) 수요는 80갠데 공급은 120이므로 초과 공급이 발생 (

공급과잉

)

 

문제점 1) 바람직하지 못한 배분방식

공급자들은 원하는 만큼 팔수 없음 → 인종적유대, 가족관계에 호소하는 판매자들이 더 많이 팔수있을것

↔ 자유경쟁시장에서는 '가격' 이 배분기능을 담당하므로 누구든지 아이스크림을 팔수있음

예1 ) 최저임금제

(a) 규제없음

(b) 규제있음 : 노동의 공급 > 노동의 수요 ⇒ 실업발생

직장이 있는 근로자들의 소득은 상승하지만, 직장을 구하지 못한 사람들의 소득은 하락한다.

 

최저 임금제의 효과 : 근로자들의 기술과 경험에 따라 좌우됨

(1) 전문직 + 오랜경험을 가진 근로자 : 임금이 시장균형수준보다 높아서 최저 임금제가 실효성이 없음

(2) 10대 청소년 노동시장(숙련도가 낮고, 경험도 가장 낮음): 최저 임금제가 가장큰 영향을 미침

  • 10대들은 직장 훈련 기회가 주어진다면 낮은 임금에도 기꺼이 일하려고 함 + 무임금인턴(최저 임금제가 적용되지 않음) 인턴직에도 최저임금제가 적용된다면, 인턴자리가 존재하지도 않을것
  • 최저임금이 10% 상승하면 10대 고용이 1~3% 하락한다고함 (엄청나게 큰 수치)

부작용및 현실 1) 최저임금의 상승 → 학교 재학중인 10대중 일부가 학업을 포기하고 일자리를 찾게됨 (기존 10대 근로자들을 밀어내기 때문에 기존 근로자들은 실직함) → 실업증가

부작용및 현실 2) 최저임금으로 낮은 생활에서 벗어날수없다

 

옹호) 부작용이 있지만 정도가 심하지 않고 , 전체적으로 단점이 더 많다. 최저 임금이 높을수록 저소득 근로자들에게 이득이 될것

반대) 빈곤을 퇴치하는 최선의 방책이 아님 , 1)실업발생 , 2)10대들의 학업중단 조장 3)미숙련 근로자들에게 필요한 직장 훈련기회를 박탈 한다고 주장 4) 목표계층이 모두 빈곤계층이 아님, 예로들면 최저임금 받는 1/3만 빈곤선 아래고 나머지는 중류층 파트타임 용돈알바

 

가격 통제에 대한 평가 (결론)

가격

= 우연 x , 수요와 공급의 이면에 있는 수많은 소비자들고 기업들의 의사결정의 결정체 / 수요와 공급을 일치시키고 경제활동을 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

 

1.2c 기본원리7 : 경우에 따라 정부가 시장성과를 개선할수 있다.

⇒ 시장에서 결정된 결과가 불공평하다고 판단할 경우 가격 통제를 도입

 

e.g. 임대료 규제 , 최저임금제

목표 : 가난한 사람들을 도울 목적

결론 : 돕고자 하는사람들에게 피해를 줄수도 있음

( 임대료 규제 : 집구하기 어려워지고, 유지보수 노력을 저해함)

( 최저임금제 : 일부 근로자들의 소득은 올라가지만, 다른 근로자들은 일자리를 잃음)

 

가격 통제가 아닌 다른 방법

임대료 규제 : 저소득층 가구들에게 임대료 보조금 지급

최저임금제 :

임금 보조제 (고용을 줄이지 않고 저소득 근로자들의

생활수준을 높일수 있다) ,

근로소득세 환급제도 ( 저소득 근로자들의 소득을 보충해주는 제도)

 

⇒ 가격 통제보다는 우월하지만 완벽한것은 아니다

(단점 : 임대료 보조나 임금 보조에는 재원이 필요해서 세금 인상이 필수 , 세금은 사회적 비용이 있다

..............................................................................................................................................................

<조세>

e.g. 지방정부가 매년 아이스크림 축제를 연다. 이 행사비용을 조달하기우해 아이스크림에 개당 0.5달러의 세금을 부과하기로함 그렇다면 세금의 부담은 누가지는가? 판매자? 소비자?조세의 귀착

= 세금이 시장 참여자 사이에서 분담되는 현상

판매자에 대한 과세

균형과 변화에 대한 3단계 접근방법을 적용

(1) 어떤 사건으로 인해 수요곡선, 공급곡선이 이동하는지, 아니면 두 곡선이 동시에 이동하는지 판정한다

세금은 아이스크림의 공급에 영향을 미침 ⇒ 공급곡선 이동 (아이스크림 사업의 수익성이 감소)

세금이 구입자에게는 부과되지 않음 ⇒ 수요량 변화없음 (그전에 수요량의 변화 = 곡선내의 이동이라고 했음)

 

(2)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지, 왼쪽으로 이동하는지 판정

세금 부과 → 생산비용과 유통비용을 증가 → 공급량의 감소 → 왼쪽/위로 으로 이동

Q.왜 생산비용과 유통비용을 증가시키는가?

e.g. 아이스크림 개당 2달러, 세금 0.50 달러이면 공급자들이 실질적으로 받는 가격이 하락→ 시장가격이 하락했다고 보고 공급량을 결정(공급량의 하락) → 가격 상승 (정확하게 0.50달러만큼 위로 상승한다!!!!!)

 

(3) 수요,공급 곡선 그래프를 이용해서 수요,공급곡선의 이동이 균형가격과 균형 거래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

구입자들의 구입량과 공급자들의 판매량이 감소 → 시장의 규모가 줄어듬

 

 

결론 : 실질적으로 구매자와 판매자가 공동으로 세금을 부과함 (소비자들은 0.30 만큼 더 내고 / 판매자들은 3 → 2.80으로 이득이 감소함 ) →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 후생수준의 하락

  • 세금은 시장거래를 억제함
  • 어떤 재화에 세금이 부과되면 균형거래량은 줄어든다
  • 구입자와 판매자가 세금을 공동으로 부담한다. (구입자들은 더 비싸게 사고, 판매자들은 더 낮은 금액을 받음)

구입자에 대한 과세

(1) 어떤 사건으로 인해 수요곡선, 공급곡선이 이동하는지, 아니면 두 곡선이 동시에 이동하는지 판정한다

세금이 부과되어도 공급자들의 경제적 유인에는 변화가 없으므로 → 공급곡선 이동 x

구입자들이 공급자들에게 값을 치름 + 정부에 세금 납부 → 수요곡선 이동 o

**

경제적유인

= 처벌 가능성이나 보상같은 사람이 행동하도록 만드는 것 (1장에서 배운거) (합리적인 사람은 어떤 행동을 하고자할때 이득과 비용을 계산해서 의사결정을 하기 떄문에 경제적 유인에 바응한다)

 

(2)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지, 왼쪽으로 이동하는지 판정

가격이 오르면 → 구입자을의 희망 구입량이 줄어듬 → 곡선이 왼쪽/아래쪽 으로 이동

Q. 가격이 오르는데 곡선상이 아니라 곡선이 이동하는 이유는?

구입자 가격은 실질적으로 0.50 달러가 상승함. ( = 구입자들이 세금 부과 이전과 동일한 수량의 아이스크림을 구입하도록 하려면 가격이 0.50 달러가 낮아져야한다. → 수요곡선은 D1→D2 로 정확히 0.50만큼 이동해야함)

 

(3) 수요,공급 곡선 그래프를 이용해서 수요,공급곡선의 이동이 균형가격과 균형 거래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

앞과 같은 결과

 

 

결론 : 세금이 구입자에게 부과되나 판매자에게 부과되나 효과는 똑같다

새로운 균형에서 구입자와 생산자는 세금을 나누어서 부담.

두가지 경우의 차이점은 구입자와 판매자중 누가 세금을 더 정부에 납부하는가

 

탄력성과 조세의 귀착

(a) 공급이 탄력적이고 수요가 비탄력적 (판매자들은 가격변화에 민감/구입자들은 민감x)

⇒ 세금이 부과되면 판매자가 받는가격은 큰폭으로 하락하지 x, 판매자부담은 작다

⇒구매자들이 내는 가격은 큰폭으로 상승 , 구매자가 세금 대부분을 부담

(b) 공급이 상대적으로 비탄력적이고 수요가 탄력적

⇒ 세금이 부과되면 구입자가 내는 가격 상승은 작지만,

⇒ 판매자가 받는 가격은 큰폭으로 하락 , 즉 판매자가 세금대부분 부담

 

  • 세금 부담의 배분에 대한 일반적인 원칙

⇒ 탄력성이 낮은쪽으로 더 많은 세금을 부담

탄력성

= 구입자나 판매자가 시장여건이 불리해졌을때, 시장을 떠나려는 의지

수요탄력성이 작다 = 구입자가 세금이 부과된 재화를 대체할 다른 재화를 찾기어려움

e.g. 급여세에 적용가능

노동의 공급이 수요보다 비탄력적임. 급여세의 부담은 기업주가 아니라 근로자(=노동 공급자) 들이 질것

e.g. 사치세에 적용가능

요트에 대한 수요는 매우 탄력적, 반면 요트의 공급은 비탄력적, 사치세 부담은 요트 공급자(제조업체, 근로자)들이 대부분 지게됨. ⇒ 부자들보다 중산층에게 세금부담이 전가됨 ⇒ 결국 폐지됨

 

 

6장-가격통제(하한상한)

<가격 통제>

www.notion.so

 

https://www.notion.so/5-9f650534dd694ab88abe04fe42003bd7 

 

5장-탄력성

<수요의 탄력성>

www.notion.so

<수요의 탄력성>

탄력성

= 판매자와 구매자들이 시장 조건의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 / 수요량이나 공급량이 그 결정변수의 변화에 대해 반응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앞서서(4장) 영향의 방향성뿐만아니라 크기도 분석할것임

수요의 가격탄력성

= 어떤 재화의 가격이 변할때 그 재화의 수요량이 얼마나변하는지 나타내는 지표 수요량의 변확률을 가격 변화율로 나눈 수치 / 가격이 변할때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는지 나타내는 지표

탄력적

= 한 재화의 수요량이 가격변화에 대해 민감하게 변함

비 탄력적

= 한 재화의 가격이 변할때 수요량이 약간 변함

 

재화의 가격이 낮을수록 / 소득이 높을수록 / 대체제의 가격이 높을수록 / 보완재의 가격이 낮을수록 ⇒

수요증가

 

가격탄력성을 결정하는 몇가지 규칙들 (일반적인 규칙은 아님/발견한 규칙들)

  • 밀접한 대체재의 존재

밀접한 대체재가 있으면, 소비자들은 그 재화 대신 다른 재화를 사용할수 있으므로 재화의 수요는 탄력적이다.

e.g. 버터와 마가린은 탄력적 / 달걀은 비 탄력적
  • 필수품과 사치품

필수품은

비 탄력적

/ 사치품은

탄력적
  • 시장의 범위

좁은 재화범위는

탄력적

/ 넓은 재화범위는

비 탄력적e.g. (비 탄력적) 식료품 > 아이스크림 > 바닐라 아이스크림 (매우 탄력적)
  • 시간의 차원

시간을 길게 잡을수록

탄력적

/ 좁은 시간

비 탄력적e.g. 휘발유 가격이 인상 → 처음 몇달은 수요가 크게 늘지않음 (비 탄력적) , 몇년후 연비가 높은 차를 사거나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거나 직장옆으로 이사를가서 수요가 크게 줄어든다 (탄력적)

 

 

  • 가격 탄력성

수요의 가격 탄력성

= 수요량의 변화률(분자) / 가격의 변화율(분모)

( 부호는 상관하지 않는다)

e.g. 아이스크림 가격이 10% 인상 + 수요량이 20%감소 ⇒ 가격탄력성은 2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크다 = 수요가 가격 변화에 더 민감하다

 

문제점 : 점 A→B 와 B→A 가 다름 ⇒ 중간점을 이용한 탄력성 계산법

e.g. 점 A : 가격4달러 , 수요량 120 / 점 B : 가격6달러 , 수요량 80

가격탄력성 = (40 / 100) / (2 / 5) = 1

 

탄력적

: 1보다 크다 / 가격 변화폭보다 수요량의 변화폭이 더 크다 (기울기가 완만하다)

비 탄력적

: 1보다 작다 / 가격 변화폭보다 수요량의 변화폭이 더 작다 (기울기가 가파르다)

 

총수입

= P(재화의 가격) x Q (판매량)

(a) 수요가 비 탄력적인 경우: 가격이 오르면 총수입 증가 (가격과 총수입은 같은 방향으로 변함)

(b) 수요가 탄력적인 경우 : 가격이 오르면 총수입 감소 (가격과 총수입은 다른 방향으로 변함)

(c) 가격 탄력성이 1인경우 : 가격이 변해도

총수입은

변하지 않음

 

 

  • 수요 곡선이 직선일 경우

기울기는 일정하지만 탄력성이 일정하지 않다.

⇒ 수요 곡선상에서 탄력성이 일정할수는 있지만 항상 그런것은 아니다 (객관식문제나올듯)

 

  • 다른 수요의 탄력성
수요의 소득 탄력성

= 소비자의 소득이 변할 때 어떤 재화의 수요량이 얼마나 변했는지 나타내는 지표, 수요량의 변화율을 소득 변화율로 나눈 수치

=

수요량의 변화률 / 소득의 변화율정상재

: 소득탄력성

+++

/ 수요량과 소득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임

정상재 - 필수재 :

소득 탄력성이 낮다

정상재 - 사치재 :

소득 탄력성이 높다

열등재(e.g. 대중교통)

: 소득탄력성

- - -

/수요량과 소득이 반대 방향으로 움직임

 

수요의 교차 탄력성

= 한 재화의 가격이 변할 때 다른 재화의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는지 나타내는 지표, 한 재화의 수요량을 다른 재화의 가격 변화율로 나눈 수치

=

재화1의 수요량 변화율 / 재화2의 가격 변화율대체재

(e.g. 햄버거,핫도그) : 교차 탄력성

+++

(햄버거 가격이 상승하면→ 핫도그수요량 상승)

보완재

(e.g. 컴퓨터,소프트웨어) : 교차 탄력성

- - -

(컴퓨터 가격이 상승하면 → 소프트웨어 수요량 감소)

 

..............................................................................................................................................................

<공급의 탄력성>

공급의 가격 탄력성

= 어느 재화의 가격이 변할때, 그 재화의 공급량이 얼마나 변하는지 나타내는 지표/ 가격이 변할때 공급량이 얼마나 변하는지 나타내는 지표

→ 생산량을 얼마나 신축적으로 조절할수 있느냐에 따라 좌우된다.

e.g. 해변에 인접한 택지(땅) 은 추가생산이 불가능하기 떄문에 공급이 비탄력적 / 책,자동차,티비같은 공산품은 가격이 높아지면 공장 조업시간을 연장해서 생산량 늘리기 가능함으로 공급이 탄력적임

탄력적

: 어느 재화의 공급량이 가격변화에 민감하게 변함

비 탄력적

: 가격이 변할때 공급량이 조금만 변함

 

공급의 가격 탄력성 계산 =

공급량의 변화율(분자) / 가격의 변화율(분모)

e.g. 우유가격이 1갤런당 2.85달러에서 3.15로 오를때, 낙농가 우유 공급량이 월평균 9000갤런에서 1만1000갤런으로 증가할때, 가격변화율 = {

(11000-9000)/ 10000

}/ {(3.15-2.85) /3.00} = 2

→ 탄력성은 2 , 공급량 변화율이 가격변화율의 2배

 

  • 다양힌 모양의 공급곡선

공급량이 적을때 :

탄력적

/ 유휴생산능력이 있다 (= 공장이나 설비가 하루종일 또는 하루중 몇시간 노는상태)

공급량이 많을때 :

비 탄력적

가격이 조금만 오르면 이 유휴생산시설과 장비를 가동하는것이 이득 ...(

탄력적

) 그러나 생산능력이 한계에 도달하면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새로운 공장을 건설해야함. 추가비용을 들여서 공장을 짓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해야하고,

비 탄력적

이여진다

 

<수요, 공급, 탄력성 세가지 응용>

예1) 농부라고 가정, 보통 종자보다 20%더 많은 생산량을 내는 밀종자를 개발했다고함

(1) 수요, 공급 곡선이 이동하는가

농부들은 더 많은 생산량을 얻기를 바랄것→ 공급곡선의 이동

소비자들의 밀 구입량은 변하지 않을것 → 수요곡선 안변함

(2)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밀생산량이 증가하기 떄문에 공급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할것

(3) 수요,공급곡선 그래프를 이용해서 시장균형이 어케 변하는지 분석

  • 가격이 하락함 (3달러→2달러)
  • 총 수입량 (PxQ) 감소 300 → 220 ( P공급량은 늘었지만, Q밀가격은 낮아짐

ㄴ 총수입의 증가 여부는 수요의 가격 탄력성에 달렸다.

ㄴ실제로 밀은 대체재가 없기 때문에

비탄력적 (기울기가 가파름)

ㄴ 농부들의 총수입은 줄어들었다

ㄴ 각 농부들은 밀 시장을 구성하는 극히 작은 부분이므로 시장가격을 주어진 그대로 받아드림. 각 개별 농부들 입장에서는 가격이 주어져 있으므로 새로운 종자를 채택해서 더 많이 생산하고 판매하는것이 이득 그러나 모든 농부들이 생산을 늘리면 밀 가격이 하락하고 총수입이 감소한다는것

 

비슷한 예 : 200년전 영농기술 보잘것없던때 : 90%이 농부 → 영농기술의 발달로 공급이 늘어남 → 곡물가격의 하락 → 농가수입감소 → 농부가 영농을 포기 17%가 농부 (생산량은 5배가 늠)

반대 : 농부들이 밀 공급을 줄이면 → 곡물이 판매수입이 증가

결론 ⇒ 농부들이 곡물 생산량을 줄일수록 총 수입이 증가한다 but 소비자들 입장/ 사회전체의 입장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음 , 한마디로 농부들이 좋으면 소비자가 불리하고 , 농부들이 불리하면 소비자가 유리하다.

 

 

예2) 석유 수출기구의 고유가 유지 실패

OPEC 회원국들은 세계 유가를 인상함(공급을 줄임) ⇒ 결국 꾸준히 가격이 하락하다 45%까지 떨어져버림

가격 변동의 원인 : 공급제한 x / 전 세계의 호황과 불황에 의한 세계 석유 수요의 변동 (석유시추기술의 발달로 인한 공급증가)

 

(a) 단기적 : 비탄력적 (가파름)

공급이 비탄력적 : 원유 매장량은 일정, 원유 추출 능력은 쉽게 변하지 않기 떄문

수요도 비탄력적

(b) 장기적 : 탄력적 (완만)

공급이 탄력적 : 장기적으로 높은 유가가 형성되면 산유국들은 석유 탐사를 늘리고 원유 추출 시설도 신축 할것

수요도 탄력적 : 소비자들은 엔진효율이 좋은 하이브리드나 전기차를 구입할것

 

실패 원인 : 단기적으로는 가격이 바짝 오르지만 이게 장기적이 되면 점점 가격이 별로 안올라서 실익이 별로 없다.

 

예3) 마약 퇴치정책으로 마약 관련 범죄가 증가?감소?

마약과의 전쟁에 인원을 더 투입한다면? (마약의 국내 반입을 저지, 마약 수입업자에 대한 단속을 강화)

 

(a) 공급 억제

직접적인 영향은 소비자보다는 공급자에게 미침 / 마약 판매비용이 증가할것/수요의 양은 일정하다

but 마약관련 범죄는???

마약 판매 비용의 증가 → 판매 수입의 증가 →마약 구입 지출 총액의 증가 → 마약살 돈이 없어서 범죄의 증가!!!! → 다른 접근방식이 필요함

옹호 주장 1 : 단기적으로는 수요가 비탄력적이기 떄문에 수요가 바로 줄지는 않을것 / 단기적으로 범죄가 증가

장기적으로 보면 가격이 높아져서 마약에 손을 쉽게 댈수없게됨으로 수요가 줄것이다. / 장기적으로 범죄 감소

 

(b) 마약 사용의 위험성에 대한 교육 (장기적)

수요곡선이 줄어든다→ 역시나 거래량이 감소함→ 판매 수익도 하락!! → 소비와 / 범죄 둘다 감소시킬수 있음.

 

 

www.notion.so/5-9f650534dd694ab88abe04fe42003bd7

www.notion.so/4-a252da0313804fd28e6f16c4b7146e1b

+ Recent posts